동업자까지 등쳐먹는 비열한 <시인세계>
제가 지난 3월 10일에 ‘권력’이 되고픈 문학잡지 <시인세계>(http://2kim.idomin.com/772)라는 제목으로 글을 쓴 적이 있습니다. <시인세계>라는 계간지가 뭐 ‘2000년대의 주목받는 젊은 시인들’이라는 기획으로 시인들 등수를 매겨 죽 줄을 세웠다는 내용입니다.(몇몇 신문에서 이를 크게 다루기도 했지요.)
점수 매기는 데 평론가 34명과 시인 56명이 참여했고, 이 가운데에는 <시인세계> 발행인을 비롯해 편집위원 세 명 모두 들어 있었습니다. 이러니 어찌 공정하다 하겠으며 더 나아가 문학을 비롯한 예술의 본질상 이런 성적 매기기가 어찌 가당하다 하겠느냐, 썼습니다.
그이들은 자기네 매긴 서열이 보편타당하다고 여기는 듯한 낯간지러운 말을 하면서도, 시인 56명과 평론가 34명을 무엇을 기준 삼아 어떻게 뽑았는지조차 밝히지 않았습니다. 56명과 34명에게만 물었는지, 더 많은 이들에게 물었는지 여부 따위 말입니다.
저는 그 글에서 아름다움과 아름다움의 표현에 등수를 매길 수 있다는 물신 숭배가 두렵고, (제가 과문한 탓이겠지만) 1등에서 20등까지 52표에서 3표까지 어설프게 등수를 공개하는 ‘생쇼’도 이번에 난생 처음 봤다고도 했습니다.
이렇게 했더니, 평론가 한 분께서 댓글을 남기셨습니다. 제가 지적한 내용에 대해 변명할 여지가 없고, 응당 책임져야 할 부분이 크지만, 한 마디 변명이라도 하고프다 하셨습니다. 그대로 옮겨 보겠습니다.
문제의 '시인세계' 2009년 봄호.
그러므로 <시인세계>는 앞에 평론가 표현처럼, 문단의 동업자들을 자기 입맛대로 ‘활용’한 것밖에 되지 않습니다. 좋게 말하자면 그렇지만 좀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자기네 ‘문학권력’을 세우고 그것을 바탕삼아 2000년대 등단한 시인들을 줄 세우기 위해 순진한 시인과 평론가들을 등쳐먹고 ‘악용’했다 해야 할 것입니다.
저는 이렇게 답글을 달았습니다. “그러셨다면 미안하게 됐습니다. <시인세계>가 이런 발표를 하려면 그에 걸맞은 준비를 했으리라 생각했습니다. 말하자면 이런 조사를 하는데, 이것이 어디에 어떻게 활용된다는 정도는 미리 말해줬으리라 짐작을 했는데, 제가 잘못 알았습니다. 선생님께서도 알지 못한 채로 활용당하셨다니, 다시 사과 말씀 올립니다.”
그런 다음에 저는 “<시인세계>의 무모함에는 정말 다른 할 말이 별로 생각나지 않습니다만…….”이라고 덧붙였습니다만, 지금 생각해 보니 여기에 더해 제가 쓴 글도 일부 고쳐야겠다 싶습니다. 그 때는 투표를 시킨 <시인세계>나 투표에 참여한 시인과 평론가들이 한 통속으로 보고 이리 썼거든요.
“(버릇처럼 어렵게 쓰는) 평론가들 지리멸렬한 글을 읽지 않은 지는 벌써 오래 됐습니다. 여기서 더 나아가 저는 한편으로 안타깝고 또 아깝지만, <시인세계>는 물론이고 이번 등수 매기기에 기계로 동원된 시인 56명도 당분간은 보지 않을 작정입니다.”
바꿔본 글입니다. 시인과 평론가들이 <시인세계>에게 속은 줄을 알았기 때문입니다. “일부러 어렵게 쓰지는 않는 평론가의 글이라면 앞으로 읽도록 노력하겠고요, 이번 등수 매기기에 악용된 시인들의 시 또한 열심히 보려고 애쓰겠습니다만, <시인세계> 잡지만큼은 제가 좋은 생각으로는 절대 책장을 넘기지 못 할 것 같습니다.”
물론, 평론가와 시인 90명 가운데에도 <시인세계>와 똑같이 취급해야 할 이가 몇몇 있습니다. 시인 김종해 김중식과 평론가 정효구입니다. <시인세계> 편집위원이면서 투표에도 참여했습니다. 다른 동업자들을 등쳐먹은 장본인입니다. 비열한 의도를 숨기고 시치미를 뚝 떼었던, 권력욕의 화신이랄 수도 있을 것입니다.
김훤주
'지역에서 본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직도 여성 해방 운운하느냐고? (45) | 2009.03.26 |
---|---|
TV '가짜교사 사건' 뒷얘기 추적해봤더니… (31) | 2009.03.23 |
시인·평론가들을 속여 이용한 문학잡지 (14) | 2009.03.21 |
살림살이, 나와 모든 생명을 살리는 지혜 : 책 소개 (1) | 2009.03.20 |
사람들은 왜 황사를 나쁘게만 볼까? (41) | 2009.03.17 |
자서전 대필 전문업체의 권유 편지 (4) | 2009.03.17 |
비밀댓글입니다
고맙습니다. 고쳤습니다. ^.^
못하는 게 없으시면 고생이지요. 하하.
그래도 보람은 엄청 많으시겠어요.
문학계에도 등수놀이가 시작된거가요?
어이 없는 작태네요..
더구나 추천한 문학인들을 이용했으니 비난받아 마땅합니다..
다른 추천인들의 입장과 시인세계의 변명이 궁금합니다
저도요, <시인세계>가 해명을 해야 마땅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어쩌면 여름호에서 자기 견해를 밝히실지도 모를 노릇이지요.
공감입니다요.
고맙습니다요. ^.^
사실은 지나치게 까칠하게 굴지 마라, 그러는 너는 뭐 잘났느냐, 이런 댓글이 많이 붙을까봐 조심스러웠거든요.
제목에 오자 났군요. 시민이 아니라 시인... 제목 보고 어떻게 시민과 평론가를 속이나 싶었습니다.
김종해씨나 김중식 시인도 편집자들에게 이용되었지 싶습니다만...
그런데 <시인세계>라는 잡지가, 권위와 명성은 있습니까? 그냥 무시해도 좋을 잡지가 아닐까 싶어서요.
예 고맙습니다. 제가 수정하면서 틀리게 넣은 것 같습니다. 고쳤습니다.
문학인 차체에도 등수 놀이가 가능하다는 것을 오늘 알았네요... 무슨 베스트셀러 소설이나 시도 아니고.. 문학인들을 등수 매기는 이 현실은 그 참....
문학이란 살아 쉼쉬는 생명 같은 것이라고 들었는데....
모두에게 사랑 받지 못해도 한 사람 한 사람 마음에 깃들면 그것은 살아 있는 시가 되고 소설이 되고 수필이 되고 문학이 되는 것이라고 이야기 들었것만...
영화처럼 흥행수입으로 움직이는 산업이면 그래도 이해하고 가겠지만...
안 그래도 문화산업 자체가 큰 위기에 봉착했는데... 문학인들 가지고 이런 등수놀이나 하고 계시다니 ㅡ,,,ㅡ
자세한 내막은 모르겠지만 이 글로만 본다면 왠지 어설픈 코미디 같네요. 결과적으로 추천인의 진의를 왜곡한 셈이 되버린 추천의 청탁이나 활용 과정이 그렇고 이런 날선 비판에 대해 진지한 반성과 소통의 모습을 기대하기 힘든 것처럼 느껴지는 것도 그렇구요. 지나가다 '시인들 줄세우기'에 화들짝 놀라고 또 어이가 없어서 한 줄 적습니다.
시인세계가 죄를 시인하는 놈들의 세계라면 죄값을 받아야지 오히려 죄를 짓지 않은 작가를 서열로 수형번호를 만들어 죄인으로 모나. 치열한 작가정신 더럽히는 시인세계는 차라리 딴세계로 가라!
기가 막히는 일이군요...
만약 김주완님 말씀 그대로라면, 문학잡지가 황색사이비언론과 다를 바가 뭐가 되나요...
... 답답합니다.
뭐, 문단의 권력화야 예전부터 있던 일이라지만, 정말 이런 짓까지 하다니 너무 치졸하네요.
위 글대로라면 시인세계에서도 이글을 보고 아차! 하지 않았을까요(그랬길 바랍니다)
실수였길 바랍니다
좋은 문학잡지가 되기위한 과정이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