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 통도사 석가모니 부처님 진신사리를 모신 금강계단이 모든 사람에게 완전 개방이 돼 있었습니다. 11월 29일 부처님을 마음으로 뵙기 위해 들렀더니 그랬습니다.
600년대 자장율사가 중국에서 진신사리를 모셔와 세웠다는 금강계단. 금강계단은 부처님 사리탑을 모신 자리로서 스님이 처음에 계戒를 받는 의식을 행하는 장소이기도 합니다. 수(受)계를 해야만 스님이 된답니다.
통도사 으뜸 절간인 대웅전에는 그래서 불상을 모셔 놓지 않고 있습니다. 부처님 진짜 몸이 있는데 그 형상을 따서 새기거나 그린 나무토막 쇳조각 흙덩어리가 무슨 소용이냐, 는 것이지요.
통도사는 그동안 부처님 진신사리 다칠까봐, 아니면 신앙의 대상인 부처님과 일반 신도 사이에는 적당한 거리가 있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금강계단 출입을 금지해 왔습니다.
부처님 오신 날이나 개산대제 하는 날 같은 때를 빼고는, 평범한 보통 사람들은 철문 너머 먼발치에서 기웃대기밖에 할 수가 없었던 것입니다.
금강계단 한가운데 들어서 있는 석가모니불 진신사리탑.
“아니요. 특별한 일은 없고요. 지난해 주지 스님 새로 오시면서 완전 개방했습니다.” 조금 전 서둘던 제 모습이 그만 우스꽝스러워지고 말았습니다요. 하하.
이쯤 되면 통도사 금강계단 완전 개방은 모든 신문 방송 문화부에서는 한 번쯤 챙겨 봤어야 할 ‘사건’일 텐데도, 저는 그런 기사를 본 적이 없었습니다.
인터넷으로 검색해 보니 <경향신문>이 2007년 7월에 하나 다뤘네요. 주지 정우 스님 인터뷰 기사입니다. 제목은 “山寺에 울타리가 무슨 소용”인데요.
일체 경계를 허무는 작업을 2007년 6월 29일 정우(頂宇·55) 스님이 주지로 오면서 하고 있다는 얘기를 담았습니다. 경계 허물기에는 당연히 금강계단 완전 개방도 들고요.
참 좋았습니다. 해인사가 느낌이 시원하고 날렵한 절간이라면, 통도사는 따뜻하고 중후한 느낌을 주는 절간입니다. 이리 차이 나는 맛을 즐기려고 한 해 한 번 정도씩 찾곤 합니다, 저는.
김훤주
|
'가본 곳'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주 독특한 한옥 폐가를 봤습니다 (10) | 2008.12.12 |
---|---|
사다리로 올라가는 2층 변소 보셨나요? (6) | 2008.12.11 |
완전 개방된 통도사 금강계단 (8) | 2008.12.02 |
빈칸 채워보세요 "쳐부시자 ○○○" (16) | 2008.11.24 |
느티나무 단풍의 치명적 유혹 (5) | 2008.11.06 |
나는 한라산보다 도들오름이 좋다 (4) | 2008.11.04 |
나도 통도사 가봤는데, 이 건축물은 본 기억이 없네요. 단청이 없는 게 특이하군요. 잘 봤습니다.
하하. 가셨다면 이 건물을 보기는 하셨을 겁니다. 기억까지 제가 책임질 수는 없지만. 그리고, 단청은 낡아서 희미해졌을 뿐 없지는 않습니당...
저는 지난 하순 영남알프스 산행을 마치고
통도사로 하산하여 금강계단을 답사했습니다.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어서
상시개방 된 것으로 생각했는데 그런 사정이 있었군요~
잘 보았습니다.
제 후기를 트랙백으로 걸어 둡니다.
고맙습니다. 고맙게 보겠습니다.
울타리가 무슨 소용? 이 말씀에 동의하면서도
사람들로 북적대는 금강계단을 보면서 또 얼마나 빨리 망가져갈까 하는 걱정이 들었습니다.
전에는 수련회 참가 인원 정도만 도량석 이후에 삼보일배를 하면서 참배하는 정도였는데
어떻게 보면 대책없이 개방했던 숭례문 짝 나는 것은 아닌지 하는 걱정이 앞서더군요.
그냥 마모시켜 없애버려도 좋을 그런 것이 아니라는 생각에
문 열어 주신 그 마음은 고맙지만
마냥 좋아할 일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겠지요...... 긍정과 부정 두 측면이 함께 있겠지요. 좋은 측면이 더 많기를 바랍니다.
대웅전 옆 삼성각도 특이 합니다. 안으로 들어가 보세요. 다른 절에 있는 삼성각하고 다릅니다.
그렇게 하겠습니다. 이번에 다시 가면 자세히 들여다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