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저런 생각-김주완

진보주의자가 읽어야 할 두 권의 책

기록하는 사람 2008. 7. 29. 17:40
반응형

나는 한국의 진보가 실패해온 가장 큰 이유는 '뻔하고도 단순한 이야기를 너무나 어렵고 길게 설명하고 가르치려 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최근 두 권의 책을 읽으면서 그런 내 생각에 확신을 갖게 됐다. '미국의 진보 세력은 왜 선거에서 패배하는가'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조지 레이코프 지음, 유나영 옮김, 도서출판 삼인)라는 책과 '폭압적 신자유주의 세계화에 대한 실천적 제안서'라는 부제가 붙은 [수전조지의 Another world](수전 조지 지음, 정성훈 옮김, 산지니)라는 책이다.

진보의 실패와는 반대로, 5~6월 촛불시위가 그토록 뜨겁게 타오를 수 있었던 이유는 '복잡하고 어려운 이야기를 너무나 쉬운 단어로 명쾌하게 정리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촛불집회는 촛불소녀와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구호와 아이디어가 만발했던 창의력 경연장이었다.

'미친소 너나 먹어'라는 구호로 복잡한 미국산 쇠고기 문제를 한마디로 정리해버렸고, '미친 교육, 미친 소, 미친 정부'라는 말로 교육문제와 건강문제, 현정부의 문제가 본질적으로 같은 것임을 알려냈다. '밥 좀 먹자, 잠 좀 자자'는 구호는 이명박식 교육정책이 인간의 기본권을 얼마나 심각하게 위협하는 지를 절묘하게 담아냈고, '물대포가 안전하면 니네집 비데로 쓰라'는 경찰의 폭력성을 여지없이 까발렸다. 경찰이 세종로에 설치한 콘테이너박스를 '명박산성'이라 명명한 것은 소통을 거부하는 정권의 이마에 찍힌 주홍글씨가 됐다.

놀라운 것은 이 모든 명카피와 구호들이 학식높은 진보지식인의 머리에서 나온 게 아니라, 10대 촛불소녀와 평범한 시민들에게서 나왔다는 것이다.

진보지식인들이 이런 간명한 말을 만들어내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조지 레이코프는 "리버럴과 진보주의자들이 어떤 신화를 믿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그 신화는 "진리가 우리를 자유롭게 할 것이다. 사람은 기본적으로 합리적인 존재이므로, 우리가 사람들에게 진실을 알려주기만 하면 그들은 옳은 결론에 도달할 것이다"는 가정으로 시작한다는 것이다.

레이코프는 진보주의자들이 대단히 심각한 '저(低)인지' 현상에 시달리고 있다고 진단한다. 저인지 현상이란 한두 단어로 불러일으킬 수 있는 비교적 단순하고 고정된 프레임이 결여된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TV에 출연한 보수주의자가 '세금 구제' 같이 두 단어로 된 말을 하면, 진보주의자는 자기 생각을 설명하고자 장황한 논설을 풀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보수주의자는 세금을 내는 것이 고통이라는 이미 확립된 프레임을 호소하는 데 '세금 구제'라는 짧은 한 마디면 충분하지만, 그런 프레임을 갖지 못한 진보주의자는 그게 아니라는 걸 설명하는 데 너무나 긴 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우리나라에서는 한나라당이 미국 보수주의자들의 '세금 구제'를 응용한 '세금 폭탄'이란 프레임이 담긴 단어를 무수히 퍼뜨렸다.

따라서 레이코프는 진보주의자들에게 이렇게 충고한다.

진실만이 우리를 자유롭게 하는 것은 아닙니다. (...) 진실을 우리의 관점에 맞추어 효과적으로 프레임을 구성해야 합니다. (...) 우리의 가치를 명확히 하고 그 가치에 속한 언어를 사용하십시오. 전문가인 척하는 관료주의적 언어를 버리십시오.

수전 조지도 '짧고 쉽게 말해야 한다'는 점에선 레이코프와 같은 생각을 갖고 있는 듯하다. 그 또한 진보지식인들에게 '제발 좀 쉽고 짧게 말하라'고 충고한다.

우리는 자세한 지식을 필요로 한다. 이는 틀림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우리는 또한 이를 간단하게 정리하여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사람들을 지루하게 만들고 싶다면 모든 것을 다 이야기해주라'고 볼테르는 말한 바 있다.

수전 조지는 여기에 덧붙여 진보세력에게 '제발 공부 좀 해라'는 충고도 하고 있다.

예전에는 정치가 좀 더 단순한 모습을 띠고 있었다. '미국은 베트남에서 철수하라', '인종차별정책을 중단하라', '핵무기 반대' 등의 구호를 외치면 동의하지는 않더라도 이런 구호가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는 쉽게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이제 우리는 IMF, WTO, GATS, GMO, OECD 등과 같은 온갖 약자, 그리고 스톡옵션, 토빈세 등의 낯선 단어로 가득 찬 세상에 살고 있다.

이런 표현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라면 금세 하품을 하거나 자리를 피하게 되는 게 당연하다. 만약 여러분이 이런 단어를 다른 사람에게 설명할 수 없다면 우리의 운동에 더 이상의 성장은 없을 것임이 분명하다.

심지어 그는 마르크스주의 사상가였던 안토니오 그람시의 가르침을 충실히 실천하고 있는 사람들은 놀랍게도 진보진영이 아니라 신자유주의자들이라고 꼬집는다.

그림시는 여러 해를 감옥에서 보내며 '문화적 헤게모니' 또는 '문화적 권력'이란 개념을 만들어냈는데, (...) 이는 대중을 자신이 원하는 방식대로 생각하게 만들어 어항 속 물고기가 스스로는 물속에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는 것과 같은 상태로 만드는 힘이다. (...)

지난 50년간 신자유주의자들은 그람시의 가르침을 훌륭히 실천에 옮겨왔지만 진보진영에서는 이같은 교훈이 잘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 같다. 우익진영은 일찍이 '사상의 영향력'을 파악하여 학자와 작가들에게 자금을 후원하며, 대학 교수진과 연구소에 기금을 지원하고, 각종 세미나와 회의, 주요 저널과 대학신문 등에 돈을 대기 시작하였으며, 기업의 이윤과 금융시장에 호의적이고 현재 지배계층의 이익을 증진시킬 수 있는 모든 인물과 조직을 대상으로 후원을 제공해왔다. (...)

이들 '우익 그람시주의자'는 진보주의자나 마르크스주의자와는 달리 사상의 영향력과 '문화적 헤게모니'란 개념을 몸으로 받아들였던 것이다. 이제 우리는 그들이 했던 그러한 활동의 결과물 속에서 살아가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지난 5월부터 한국사회를 뜨겁게 달궜던 촛불시위가 정작 뜨거운 8월을 앞두고 소강국면으로 접어드는듯한 느낌이다. 그러나 나는 이 국면이 더 체계적이고 더 광범위하며, 더 폭발적인 저항을 준비하는 기간이라고 생각한다.
 
진보주의자라면 촛불소녀와 아고라 전사, 평범한 시민들이 간명한 언어로 만들어냈던 프레임과 구호의 2.0 버전을 고민해야 할 때다.

수전 조지의 Another World - 10점
수전 조지 지음, 정성훈 옮김/산지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