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나는 지금 통영·거제환경운동연합 김일환 사무국장과 함께 도쿄에 와 있다. 일본의 골프장 실태를 취재하기 위해서다.
어제는 일본프레스센터를 방문해 5일간의 취재일정을 조율했고, 오늘 오전엔 일본골프장사업협회(NGK) 고문 겸 이사와 전무를 만나 긴 인터뷰를 했다. 또 오후엔 가나카와현 가와사키시에 있는 한 골프장의 총지배인과 사업부장을 역시 인터뷰하고 클럽하우스와 코스의 잔디 관리실태를 취재했다.
앞으로 토치기현 골프장 담당 공무원과 오타와라시의 시장 인터뷰가 예약돼 있고, 골프장 세 곳이 더 취재일정에 포함돼 있다. 남은 일정에 차질이 없어야겠지만, 나는 이번 취재에 상당히 만족하고 있다.
한국언론의 일본취재가 쉬운 이유
사실 나는 일본어를 잘 모른다. 그래서 내 힘으로는 절대 이런 약속을 잡을 수 없다. 설사 내가 일본어를 능란하게 한다고 하더라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일본에 아는 사람 한 명 없는 내가 국제전화를 아무리 한들, 그들이 뭘 믿고 선뜻 약속을 잡아주겠는가.
물론 이미 도쿄에 특파원을 파견해놓고 있는 큰 언론사의 경우, 그 특파원을 통하면 이런 정도의 섭외는 가능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특파원은커녕 통신원조차 둘 형편이 못되는 작은 언론사나 지역신문, 인터넷신문 등은 대개 여행사나 현지 관광가이드를 통하게 된다. 그럴 경우 접근할 수 있는 대상에 한계가 있게 마련이다. 취재의 주제에 따라 국제적인 NGO를 통하는 방법도 있긴 하다. 그러나 해당 주제가 NGO와 무관한 것일 경우 별다른 방법이 없다.
그런데 이번에 우리가 이렇게 미리 취재약속을 해놓고 편하게 일할 수 있는 것은 순전히 외신프레스센터재팬(Foreign Press Center Japan : FPCJ)이라는 일본의 외국인 기자 취재지원 시스템 덕분이다. FPCJ는 일본신문협회와 경단련(현 일본경단련)의 공동 출자로 1976년 10월에 설립된 재단법인이다. 일본 외무성과는 독립된 비영리·비정부기구이긴 하지만, 외무성의 재정지원을 받아 일본을 취재하려는 외국인 기자들의 인터뷰와 사진 촬영, 자료 제공 등을 주선해주고 있다.
이번 취재에도 FPCJ는 치카 요시다라는 직원 한 명을 아예 전담자로 지정해 우리가 요구한대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관련단체, 골프장측을 매일 접촉해 그날 그날 결과를 이메일로 보내왔다. 그렇게 보름여 동안 주고받은 메일만 20여 통. 출발 3일 전 최종 일정이 파일로 첨부돼 들어왔다. 거기엔 약속 날짜와 시간·장소, 인터뷰이의 신상정보와 전화번호는 물론 찾아가는 길과 건물 내 사무실의 위치까지 표시돼 있었다.
그런데 내가 실수한 게 있었다. 나를 포함한 두 명이 취재하러 간다고 했을뿐, 동행하는 사람이 환경단체 소속이라고 미리 밝히지 않았던 것이다.
그래서 어제 직접 만난 자리에서 김일환 사무국장의 명함을 받은 치카 요시다는 당황스런 표정을 지었다. 자신은 당연히 둘 다 기자인줄로 알았다는 것이다. 경남도민일보는 퍼블릭저널리즘 차원에서 시민단체와 흔히 공동취재를 하고 있으며, 이번 취재도 일본의 골프사업을 교훈삼아 같은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한 의도에서 한국의 골프장 정책을 연구해온 전문가와 동행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행히 그는 수긍해줬다. 하지만 이미 약속이 되어 있는 취재대상들에게 일일이 전화를 다시 걸어 한 사람이 NGO 관계자인 이유를 설명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좀 미안했다.
한국은 주재기자만 관리하나
FPCJ가 외무성과는 독립된 기구라고는 하지만, 이사장과 이사들이 주로 외교관 출신 인물로 구성돼 있고 90%에 이르는 예산지원을 받는 걸로 보아 일본 정부의 입장을 대변해주는 역할도 하고 있는 걸로 보인다.
실제로 지난 7월 독도 문제가 한·일간의 이슈로 떠올랐을 때 FPCJ는 300여 명의 외신기자들에게 일본 정부의 입장을 대변하는 이메일을 보낸 적도 있다고 한다.
이처럼 일본은 이미 70년대부터 자기나라에 주재하고 있는 특파원들뿐 아니라, 나처럼 개별적으로 취재를 위해 방문하는 외국인 기자들까지 세심하게 지원하면서 국익 차원에서 사실상 '관리'를 하고 있다. 이런 취재지원이 연간 120여 건에 이른다고 한다.
그러나 우리는 어떤가. 한국언론재단의 한 간부에게 일본과 같은 외국인 기자 취재지원 서비스가 있느냐고 물어봤다. 그런 게 없단다.
외교통상부 홈페이지에 들어가봐도 그런 건 전혀 없다. 이러니 독도 문제에서도 일본의 언론플레이를 이길 수가 없다. 주재기자만 관리하면 되는 시대는 지났다.
어제는 일본프레스센터를 방문해 5일간의 취재일정을 조율했고, 오늘 오전엔 일본골프장사업협회(NGK) 고문 겸 이사와 전무를 만나 긴 인터뷰를 했다. 또 오후엔 가나카와현 가와사키시에 있는 한 골프장의 총지배인과 사업부장을 역시 인터뷰하고 클럽하우스와 코스의 잔디 관리실태를 취재했다.
앞으로 토치기현 골프장 담당 공무원과 오타와라시의 시장 인터뷰가 예약돼 있고, 골프장 세 곳이 더 취재일정에 포함돼 있다. 남은 일정에 차질이 없어야겠지만, 나는 이번 취재에 상당히 만족하고 있다.
한국언론의 일본취재가 쉬운 이유
사실 나는 일본어를 잘 모른다. 그래서 내 힘으로는 절대 이런 약속을 잡을 수 없다. 설사 내가 일본어를 능란하게 한다고 하더라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일본에 아는 사람 한 명 없는 내가 국제전화를 아무리 한들, 그들이 뭘 믿고 선뜻 약속을 잡아주겠는가.
물론 이미 도쿄에 특파원을 파견해놓고 있는 큰 언론사의 경우, 그 특파원을 통하면 이런 정도의 섭외는 가능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특파원은커녕 통신원조차 둘 형편이 못되는 작은 언론사나 지역신문, 인터넷신문 등은 대개 여행사나 현지 관광가이드를 통하게 된다. 그럴 경우 접근할 수 있는 대상에 한계가 있게 마련이다. 취재의 주제에 따라 국제적인 NGO를 통하는 방법도 있긴 하다. 그러나 해당 주제가 NGO와 무관한 것일 경우 별다른 방법이 없다.
그런데 이번에 우리가 이렇게 미리 취재약속을 해놓고 편하게 일할 수 있는 것은 순전히 외신프레스센터재팬(Foreign Press Center Japan : FPCJ)이라는 일본의 외국인 기자 취재지원 시스템 덕분이다. FPCJ는 일본신문협회와 경단련(현 일본경단련)의 공동 출자로 1976년 10월에 설립된 재단법인이다. 일본 외무성과는 독립된 비영리·비정부기구이긴 하지만, 외무성의 재정지원을 받아 일본을 취재하려는 외국인 기자들의 인터뷰와 사진 촬영, 자료 제공 등을 주선해주고 있다.
FPCJ 홈페이지. 외국인 기자들의 개별적인 일본취재를 도와 준다.
이번 취재에도 FPCJ는 치카 요시다라는 직원 한 명을 아예 전담자로 지정해 우리가 요구한대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관련단체, 골프장측을 매일 접촉해 그날 그날 결과를 이메일로 보내왔다. 그렇게 보름여 동안 주고받은 메일만 20여 통. 출발 3일 전 최종 일정이 파일로 첨부돼 들어왔다. 거기엔 약속 날짜와 시간·장소, 인터뷰이의 신상정보와 전화번호는 물론 찾아가는 길과 건물 내 사무실의 위치까지 표시돼 있었다.
그런데 내가 실수한 게 있었다. 나를 포함한 두 명이 취재하러 간다고 했을뿐, 동행하는 사람이 환경단체 소속이라고 미리 밝히지 않았던 것이다.
그래서 어제 직접 만난 자리에서 김일환 사무국장의 명함을 받은 치카 요시다는 당황스런 표정을 지었다. 자신은 당연히 둘 다 기자인줄로 알았다는 것이다. 경남도민일보는 퍼블릭저널리즘 차원에서 시민단체와 흔히 공동취재를 하고 있으며, 이번 취재도 일본의 골프사업을 교훈삼아 같은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한 의도에서 한국의 골프장 정책을 연구해온 전문가와 동행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행히 그는 수긍해줬다. 하지만 이미 약속이 되어 있는 취재대상들에게 일일이 전화를 다시 걸어 한 사람이 NGO 관계자인 이유를 설명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좀 미안했다.
한국은 주재기자만 관리하나
FPCJ가 외무성과는 독립된 기구라고는 하지만, 이사장과 이사들이 주로 외교관 출신 인물로 구성돼 있고 90%에 이르는 예산지원을 받는 걸로 보아 일본 정부의 입장을 대변해주는 역할도 하고 있는 걸로 보인다.
도쿄의 일본프레스센터 빌딩. FPCJ는 이 건물 6층에 있고, 직원은 20명이다.
실제로 지난 7월 독도 문제가 한·일간의 이슈로 떠올랐을 때 FPCJ는 300여 명의 외신기자들에게 일본 정부의 입장을 대변하는 이메일을 보낸 적도 있다고 한다.
이처럼 일본은 이미 70년대부터 자기나라에 주재하고 있는 특파원들뿐 아니라, 나처럼 개별적으로 취재를 위해 방문하는 외국인 기자들까지 세심하게 지원하면서 국익 차원에서 사실상 '관리'를 하고 있다. 이런 취재지원이 연간 120여 건에 이른다고 한다.
그러나 우리는 어떤가. 한국언론재단의 한 간부에게 일본과 같은 외국인 기자 취재지원 서비스가 있느냐고 물어봤다. 그런 게 없단다.
외교통상부 홈페이지에 들어가봐도 그런 건 전혀 없다. 이러니 독도 문제에서도 일본의 언론플레이를 이길 수가 없다. 주재기자만 관리하면 되는 시대는 지났다.
반응형
'지역에서 본 언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 신문 지역 방송이 사라지고 나면 (5) | 2008.09.08 |
---|---|
이명박 정부 미디어 정책과 지역 신문 (5) | 2008.09.06 |
KBS 노동귀족 박승규가 개삽질을 해도 (1) | 2008.08.28 |
돈에서 벗어나면 독립언론은 가능하다 (6) | 2008.08.26 |
미디어오늘 미디어스, 대체 뭐하나 (10) | 2008.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