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에서 본 한국현대사

'디지털 박물관'도 없는 경남의 12개 시·군

기록하는 사람 2019. 11. 4. 11:31
반응형

인터넷에서 정보를 검색하다 '디지털 향토문화 전자대전'이라는 걸 본 적이 있을 겁니다. 창원시의 경우 '디지털창원문화대전', 진주시의 경우 '디지털진주문화대전'이라는 이름으로 서비스되고 있지요.

예를 들어 '민주성지 마산'이라는 문구를 포털사이트에서 검색하면 네이버는 '지식백과', 다음은 '백과사전' 항목에 '격동의 한국 현대사와 함께 민주 성지가 된 마산'이라는 글이 뜹니다. 그걸 클릭하면 '디지털창원문화대전'의 해당 글이 열리죠.

'마산 민간인학살'이라는 검색어를 넣어봅니다. 그러면 역시 백과사전 항목에 '마산 민간인 학살 진상 규명 운동'과 '곡안리 민간인 학살 사건' 등의 글이 상위에 뜹니다. 이 또한 '디지털창원문화대전'에 올려져 있는 콘텐츠입니다.

네이버 검색 결과

현대사의 두 사건을 예로 들었지만, 디지털문화대전에는 선사시대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훨씬 많은 콘텐츠가 담겨 있습니다. 역사뿐 아닙니다. 삶의 터전(지리), 삶의 내력(역사). 삶의 자취(문화유산), 삶의 주체(성씨와 인물), 삶의 틀(정치·경제·사회), 삶의 의미(종교), 삶의 내용(문화·교육), 삶의 방식(생활·민속), 삶의 이야기(구비전승·언어·문학) 등이 다채롭게 콘텐츠를 이루고 있죠. 총 정보 건수는 4579항목으로 200자 원고지 2만 6609매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입니다. 또한 사진 8725종, 영상과 음향도 196종이 포함돼 있습니다.

'민주성지 마산'에 대한 다음 검색 결과

이 정도면 그야말로 창원에 대한 디지털 박물관이라 할 만하죠. 그런데 왜 이 이야기를 꺼냈느냐면요. 최근 김해시의회 이광희 의원과 통화하면서 이런 디지털문화대전을 구축한 경남의 시·군이 여섯 군데밖에 안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깜짝 놀랐습니다. 저는 2013년 창원문화대전을 구축할 때 집필자 중 한 명으로 참여했었는데요. 당연히 다른 시·군에서도 같은 작업이 이뤄지고 있는 줄로만 알았습니다. 그런데 이광희 의원 말로는 창원·진주·양산시, 거창·함안·하동군 등 6개 시·군만 되어 있고, 나머지 12개 시·군은 아예 디지털문화대전이 없다는 겁니다. 심지어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도시 김해도 없어서 이번에 이광희 의원이 집행부를 상대로 강력히 요청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 사업은 국가 차원에서 한국학중앙연구원이 각 시·군별로 1억 5000만 원을 지원하고, 해당 지자체에서 3억 5000만 원을 보태 총 5억 원의 예산으로 이뤄집니다. 한 번 구축해놓으면 해당 지자체의 역사적 사건이나 유적, 문화 등 모든 콘텐츠에 대한 검색이 가능하게 되므로 자기 지역을 널리 알리는 데도 이만큼 효과적인 게 없죠. 박물관 하나를 세우려면 수백억 원씩 드는데, 이건 정말 비용 대비 산출 효과가 '짱'인 거죠.


그래서 부산과 울산은 시 차원에서 나서 각 구청별로 모두 디지털문화대전 구축을 완료했다는데요. 경남은 유독 왜 이리 저조할까요? 이광희 의원은 "경남도 부산이나 울산처럼 각 시·군에 1억 원씩 도비를 지원하면 일이 쉬워질 수 있을 것"이라고 하더군요. 즉 한국학중앙연구원 1억 5000만 원, 경남도청 1억 원을 지원하면 각 시·군청은 절반인 2억 5000만 원만 보태 구축할 수 있다는 겁니다. 경남도비 1억 원을 날리기 아까워서라도 시·군청이 나설 것이란 말이겠지요. 꼭 그렇게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아직 구축이 안 되어 있는 시·군에서는 뜻있는 시민들이 나서 지자체를 상대로 요구해야 합니다. 우리지역의 역사·문화 콘텐츠를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해 찾아볼 수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는 큽니다.
인터넷에서 모든 정보를 찾아보는 시대, 디지털 박물관조차 없는 시·군·구에 산다는 건 자존심 상하는 일 아닌가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