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뭥미?”
차집? 지관? 압입? 오접?
창원시에서 공사를 하고 있는 줄은 알겠는데 그 공사가 무엇인지는 도통 전혀 일절 알 수가 없습니다.
사전에도 제대로 나오지 않는 낱말입니다. 민중서림에서 나온 ‘민중 에센스 국어사전’을 찾아봤더니 그랬습니다.
차집 : 예전에, 부유한 집에서 음식 장만 따위 잡일을 맡아보던 여자(보통의 계집 하인보다는 높음).
지관(地官) : 풍수설에 따라 집터.묏자리 등을 잘 잡는 사람.
지관(地管) : 땅 속에 파묻어 땅 밑으로 통하게 설치한 관.
그리고, 압입이나 오접은 아예 없습니다. 눌러 넣거나(압입), 잘못 이어졌다(오접)는 뜻 같기는 한데 말입니다.
요즘도 그렇겠지만 행정 관청에서는 도복(倒覆)이라는 말도 썼습니다.(제가 갖고 있는 사전에는 안 나옵니다.) “태풍에 벼가 도복 피해를 입었다, 도복 면적이 10ha에 이른다.”
저는 이 도복이 처음에는 도복(道服)인 줄 알았습니다. ‘태풍 지나간 논에 웬 도복?’ 이랬지요. 그냥 쓰러지는, 또는 자빠지는, 이라 해도 충분할 텐데 말입니다.
제발, 소통에 신경 좀 쓰면 좋겠습니다. 사람들이 알아들을 수 있는 말글을 좀 쓰면 좋겠습니다.
이렇게 해 놓고서야, ‘너희들은 좀 몰라 주면 좋겠어.’, ‘모르는 채로 있어 주면 우리가 편하겠어.’, 라고 대 놓고 말하는 것보다 오히려 더 심하지 않습니까?
창원시 상하수도사업소에다 물어봤습니다. 차집은 한 군데로 모은다는 뜻이랍니다. 그리고 파이프를 묻으려면 땅을 파야 하는데 그리 할 수 없는 지역에서는 기계로 땅 속에 밀어넣는답니다. 이 밀어넣는 일이 압입이랍니다.
오접은, 우수관과 오수관이 있는데 우수관과 오수관이 서로 잘못 붙어 있는 것을 이른답니다. 여기서 우수는 빗물이고 오수는 가정 따위에서 나오는 허드렛물을 말한답니다.
김훤주
'지역에서 본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들 위해 술심부름을 했다 (119) | 2008.08.07 |
---|---|
총파업 집착을 떨치자 (2) | 2008.08.06 |
차집? 지관? 압입? 오접? (6) | 2008.08.06 |
돈벌이 수단으로 쓰이는 ‘독도’ (3) | 2008.08.05 |
이제는 새것도 빌려주겠다는 선관위 (4) | 2008.08.05 |
진보여, '뻥' 치는 버릇부터 고치자 (5) | 2008.08.05 |
비밀댓글입니다
고맙습니다. 제가 점심 한 번 대접해 올리겠습니다요. 8월 30일 저녁에는 시간이 될는지 모르겠네요.
제목에 압입 오접을 보고 순간적으로 오입으로 읽었습니다 ;;;
공사현장을 보지 않고는 무슨말인지 전혀 알 수가 없군요..
잘 보고 갑니다
저는 어제 길 높이기 공사를 '숭상'이라고 써온 기사를 봤습니다. '숭상공사' ㅋㅋ
전부가 전문용어와 줄임말 때문이네요.
차집은 여러관로를 한군데로 모으는것
지관은 하수관로에도 도로처럼 간선관로와 지선관로가 있는데 지선관로의 줄임말이고
압입은 도로를 횡단하는곳에 차량통행때문에 터파기를 할 수 없을 경우 관에 압력을 가해서 밀어넣는 방법
그리고 숭상은 도로의 덧씌우기공사를 할때 기존맨홀뚜껑높이를 같이 높여야 하기때문에 이 작업을 숭상 또는 인상이라고합니다.
공사명을 붙일때는 전문용어가 들어갈 수 밖에 없고 위의 현수막들은 공사명을 나타낸것이기에 일반인이 보기엔 어려울 수 밖에 없겠죠.
차라리 현수막 일부분에 공사내용을 알기 쉽게 적어 놓았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ㅇ 풀어서 쓰면 ~
"대산 동읍 집에서 나오는 더러운물 모으는 관로를 차,사람다니는 길을 파헤치지 않고
기계를 이용하여 기계의 힘으로 눌러 더러운물 운반하는 관을 설치하는 공사"
이렇게 써야하는데 그러면 넌 또 무슨 공사이름이 이렇게 길고 복잡한지 하겠지....
공사명 알릴려고 집체만한 현수막 붙여야 겠다 전문 용어 모르는 무식이 문제..
ㅇ 경제용어나 외국어등 모르면 나의 무식함이 알려질까 조 ~~ 용 하면서...
ㅇ 사회에 불만이 많은가 !!! 아님 너 무식함을 사회에 돌리는가 ,,,, 그냥 쉽게 생각해라.
ㅇ 언놈들 대동에 공사하는구나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