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알고 찾아간 집이 아니었다. 가족과 함께 애초 블로거 실비단안개 님이 소개해준 진해 경화시장의 한 선술집에 가볼 계획이었다. 하지만 그 집은 수리 중이었다. 별 수 없이 다른 식당을 기웃거렸다.
다행히 시장 안에는 '대포'라는 간판을 단 선술집이 서너 곳 보였다. 그 중 한 곳이 '이대포 생선구이'였다. 실비단안개 님의 블로그에 올려진 '꼬막 무침' 메뉴도 있었다. 우선 그것부터 시켰다. 한 접시 1만 원.
다행히 시장 안에는 '대포'라는 간판을 단 선술집이 서너 곳 보였다. 그 중 한 곳이 '이대포 생선구이'였다. 실비단안개 님의 블로그에 올려진 '꼬막 무침' 메뉴도 있었다. 우선 그것부터 시켰다. 한 접시 1만 원.
솔직히 별 기대는 하지 않았다. '1만 원 짜리 안주에 뭘 기대하랴. 못 먹을 정도만 아니길….'
1만 원 짜리 안주라고 얕보지 마라
1만 원 짜리 안주라고 얕보지 마라
기다리는 동안 밑반찬이 깔렸다. 달래무침과 깍두기, 빨간양파, 생배추 등이 깔끔했다.
막걸리를 두 잔째 마실 무렵, 도자기 접시에 수북이 담긴 꼬막 무침이 나왔다. 한 눈에 봐도 탱탱하고 속이 꽉 찬 꼬막은 살아있는 걸 바로 삶은 게 분명했다.
싱싱한 꼬막 자체의 맛을 훼손하지 않을 정도로 삼삼한 양념도 술안주로 제격이었다. 가늘게 썰어 함께 무친 양파도 신선함을 더해줬다. 이게 1만 원이라니. 동석한 세 명의 빠른 젓가락질에 금방 접시 바닥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주인장에게 물었다.
막걸리를 두 잔째 마실 무렵, 도자기 접시에 수북이 담긴 꼬막 무침이 나왔다. 한 눈에 봐도 탱탱하고 속이 꽉 찬 꼬막은 살아있는 걸 바로 삶은 게 분명했다.
싱싱한 꼬막 자체의 맛을 훼손하지 않을 정도로 삼삼한 양념도 술안주로 제격이었다. 가늘게 썰어 함께 무친 양파도 신선함을 더해줬다. 이게 1만 원이라니. 동석한 세 명의 빠른 젓가락질에 금방 접시 바닥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주인장에게 물었다.
-뭘 하나 더 먹으려는데, 이 집은 또 뭐가 맛있죠?
"오늘 아침 들어온 털게도 괜찮고…."
-그걸로 주세요.
바닥에 남은 양파까지 싹 쓸어먹을 즈음, 뜨거운 김이 모락모락 나는 털게가 나왔다. 어린애 주먹만한 게 다섯 마리였다. 뚜껑을 벗기려 한 마리를 집어들었다.
"앗! 뜨거."
금방 찜통에서 나왔으니 당연히 뜨거울 수밖에…. 조심스레 뚜껑을 벗기고 다리를 찢었다. 비싼 꽃게에 비할 순 없겠지만, 꽤 먹을 게 있었다. 털게가 꽃게보다 좋은 건 껍질이 부드러워 손으로도 쉽게 분질러 먹을 수 있다. 뚜껑에 붙은 알과 내장, 다리의 살까지 발라 먹는 재미가 쏠쏠하다. 이것도 역시 1만 원.
매일 아침 직접 시장 가서 좋은 물건 고른다
이걸 다 먹어볼 순 없고 마지막으로 생선모듬구이를 시켰다. 가자미와 옥돔, 고등어, 조기 등 그리 크진 않은 다섯 마리가 나왔다. 생선의 종류와 마리 수는 철따라, 시세따라 다르다고 한다.
세 명이 막걸리 세 병을 비우고 일어서니 총 3만 9000원이었다. 나오면서 보니 과연 플라스틱 통에 살아있는 꼬막과 털게가 거품을 뿜으며 숨쉬고 있었다.
-매일 아침 시장에 다녀오시나 봐요?
"예, 마산 어시장에…."
-여기서 몇 년이나 장사하셨나요?
"3년이요."
-그런데 안주 하나에 1만 원씩만 받으면 남는 게 있나요?
"사람을 안 쓰고 인건비가 안 드니까. 좋은 것 눈으로 보고 싸게 사오니까…."
-혼자 하시나요?
"저녁에는 아저씨가 도와주고…. 낮에는 혼자 하고."
-아침 시장에는 몇 시에 가시나요?
"여덟 시~여덟 시 반쯤 갔다가 시장 봐오면 열시 반쯤."
-그 때부터 손님을 받나요?
"준비해야 하니까 점심 식사부터 밤 열두 시까지."
-그러면 마치고 씼고 자면?
"두 시쯤 잠들죠."
-그렇게 자고 아침 여덟 시에 시장 가고 하려면 힘들텐데.
"그래서 여기서 잡니다. 힘들긴 하죠."
-3년이면 그리 식당을 오래 하신 건 아닌데, 식당은 왜 시작하셨죠?
"그냥. (웃음)"
-그 전에는 뭐 하셨는데요?
"우리 아저씨하고 같이 일했죠. 아저씨가 이발소 하는데, 아파서 많이 까먹기도 했고, 요즘은 또 이발소 손님이 없잖아요. 다 미장원으로 가고…. 그래서 제가 식당을 하게 됐죠."
-그런데 오늘 안주를 먹어보니 만 원씩 받을 게 아니던데.
"그렇지예? 그런데 우리 경화시장은 어쩔 수가 없어요. 시장이라는 게 비싸게 받을 수가 없어요. 촌에 어른들 와서 먹고 하는데, 너무 비싸게는 못 받겠어요."
-어른들이 많이 오나요?
"아니, 오히려 젊은 사람들이 더 많이 오긴 해요. 20대, 30대, 40대에서 50·60·70대까지 오시는데…. 그래도 좀 올린 거예요. 명태전은 5000원 받다가 지금 7000원으로 올린 거죠."
-아까 우리가 먹었던 꼬막은 어디서 사 오신 건가요?
"그것도 어시장에서 사왔죠. 우리가 가면 단골이다 보니 물건이 좋은 걸 줘요. 우리가 직접 갈 때는 좋은 물건 사려고 가는 거죠. 단골이라도 주문을 시켜보면 꼭 안 좋은 걸 보내요. 그래서 직접 가면 좋은 걸 가져오죠. 아구 내장도 우리는 만 원 받지만, 다른 데 가면 2만 원, 3만 원씩 해요. 그래도 올릴 순 없는 게 차라리 양을 줄였으면 줄였지 가격은 올리기 힘들어요. 그 대신 내가 바쁘지."
-그렇군요.
"이것 해주고 저것 해주고 다 하려면…. 보통 네 명 정도 앉으면 하나, 둘 먹고 가는데, 많이 먹는 분은 다섯 가지, 여섯 가지 먹는 분도 있거든요. 그러면 내가 엄청 바쁘죠."
이쯤에서 기자 신분을 밝히고 인터뷰 요청을 했다. 지금은 바쁜 것 같으니 언제쯤 편할지 물었다. 하지만 주인 신순자(53) 씨는 극구 사양했다.
"그런 데에 나오면 인식이 더 나빠지더라고요. 신문이나 방송 타고 나면 항상 잘 하다가도 사람이기 때문에 실수를 할 수 있거든요. 그러다 보면 인식이 더 나빠질 수 있어요. 안 그래도 미식가 동호회에서 연락이 왔더라고요. 인터넷에 올리고 휴대폰, 내비게이션에도 올려준대요. 그런데 그 사람들이 와가지고 그날 음식이 좋으면 괜찮은데, 혹시나 입맛에 안 맞을 수도 있어요. 그럴 때 동호회 사람들이 나쁘다고 올려버리면 엉망 되어버리거든요. 그래서 저는 아무 신경 쓰지 않고 하고 싶어요."
-그 동호회라는 곳에서 혹시 돈을 요구하진 않던가요?
"얼마인가 달라고 하데요. 저는 거절했어요. 지금도 장사는 잘 되는 편이거든요."
-저희 신문사는 그런 곳 하고 다르거든요. 어떤 시간이 편하시나요?
"지금 이 시간이 편하죠. 점심시간 지나고 서너 시쯤."
통술·다찌보다 우월한 진해식 선술집
바로 다음날 점심 때 회사 동료 둘과 함께 다시 찾았다. 경화 장날이었다. 신순자 씨의 남편이 서빙을 하고 있었다.
인근에서 이발소를 운영하는 그는 이렇게 짬짬이 아내를 돕는 듯했다.
다른 메뉴도 먹어보고 싶었지만, 함께 간 동료들에게도 꼬막무침과 털게 맛을 보여주고 싶어 그대로 시켰다. <경남도민일보>에 '초짜 애식가의 음식이야기'를 연재한 바 있는 고동우 기자는 꼬막에 대해 "무침보다 그냥 삶은 게 좋다"고 말했지만, 막상 맛을 본 후 '과하지 않은 양념'이라고 인정했다.
막걸리 두 병을 비운 후, 생선구이 정식 3인분을 시켰다. 생선 다섯 마리에 쑥된장국, 머위순무침, 물김치, 깍두기, 버섯무침, 오이무침, 마늘쫑멸치무침, 달래무침, 젓갈 등 10여 가지의 반찬이 나왔다. 내가 딱 좋아하는 것들이었다. 특히 시래기국처럼 된장을 풀어 끓인 쑥국은 밥 먹을 때 최고다.
고동우 기자는 이날 점심 회동 후 페이스북에 이런 글을 남겼다.
"꼬막무침 1만 원, 오른쪽 털게 1만 원, 점심용 생선구이 정식 1인당 6천 원. 참 착한 가격이다. 특히 서울 쪽에 비하면 거의 반값 수준이다. 쑥된장국도 예술이었다.
문득 마산, 통영 등의 술 문화에 대해 생각이 미쳤다. 주인장 맘대로 안주를 내주는 통술과 다찌가 좀 일방적이라면, 각자 취향에 따라 안주를 이것저것 골라 먹을 수 있는 이런 술 문화가 더 '진화'된 것이 아닐까.
물론 한 후배님 말마따나 이건 특별한 술 문화가 아니다. 일본식 이자까야도 그렇고 소위 주점이니 뭐니 하는 집 모두 이런 식으로 술을 파니까.
하지만 해산물을 제대로, 다양하게 먹을 수 있는 술 문화를 생각해보면 통술이나 다찌와 비교를 해보지 않을 수 없다. 술을 시키는 데 따라(다찌), 혹은 상 단위로 '통'으로 안주를 주는 것(통술)보다 훨씬 소비자 중심이고 다양하고 맛있는 음식을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자료를 찾아보니 역사적으로 오래된 것은 통술이나 다찌(이건 일본말이고 일본 문화의 영향이 분명 있어 보인다)식이다. 과거엔 안주는 돈을 받지 않았고 술을 시키면 식당마다 '알아서' 안주를 주는 식이었단다. 생각을 더 확장해보면 손님이 뭘 원하거나 말거나 통으로 상으로 음식을 파는 '한정식' 역시 마찬가지다.
물론 상업화의 영향도 있을 것이다. 주인장 입장에선 진해 이대포식보다 통술, 다찌가 편할 수 있다. 특히 마산이나 통영이 원래 수요자가 많았고 '당연히' 술 문화가 발달했을 것이라 생각해보면 더욱 연관성을 짐작하기 어렵지 않다.
하지만 난 굳이 고르라면 진해의 대포가 좋다고 말하겠다. 특히 '이대포 생선구이'집은 그날그날 좋은 재료를 이용한 '오늘의 메뉴'를 메뉴판에 알려주고 있었다.
주머니 사정 고려하면 더욱 그렇다. 꼬막무침, 털게에 막걸리나 소폭 한잔, 뭐 이 정도면 몇 시간은 너끈하지 않겠는가."
그의 말마따나 마산 통술, 통영 다찌, 진주 실비에 대항하는 진해의 술 문화로 '대포'를 키워 봐도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니 경화시장에만 이런 식의 대폿집이 서너 곳이나 있는 걸 보면 진해 특유의 술집문화로 이미 자리 잡고 있는 지도 모르겠다.
나오는 길에 사진을 찍으려 하자 신순자 씨는 한사코 정면 사진을 피했다. 신 씨의 남편도 손사래를 쳤다. 남편은 "저 사람(아내)이 주인인데 내가 뭘"이라며 이름도 알려주지 않았다. 참 수줍음이 많은 부부였다.
식당 바로 옆집에서 시부모를 모시고 있으며 아직 출가 전인 두 자녀가 있다고 했다. 아직 돈을 많이 벌어야 할 이유다. 설과 추석 명절 외엔 연중 무휴.


사진 = 김구연 기자
반응형
'맛집 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잘 나가는 고깃집 사장을 만나봤더니... (6) | 2012.07.23 |
---|---|
을지면옥과 필동면옥, 그리고 진주냉면 (2) | 2012.07.17 |
깔끔한 가오리찜이 있는 오동동 묵도리 (4) | 2011.11.09 |
한우와 붕어에 패배한 대장경밥상 (5) | 2011.10.20 |
여름철 입맛 없을 땐 멍게비빔밥과 미역국 (1) | 2011.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