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환경 7

"MB정부, 전문가주의로 주민 참여 폭 좁혀"

5월 18일 오후 열린 환경 정책 관련 토론회에서 이명박 정부 들어 4대강 사업 등 정치화된 토건개발이 심해지면서 환경 정책이 실종됐으며 덩달아 지방자치단체의 환경 행정도 위축·퇴행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여기에 이른바 전문가에 대한 환상 또는 착각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는 얘기도 덧붙었습니다. 조명래(단국대학교 교수) 한국NGO학회 회장이 이날 오후 3시 창원시 의창구 용호동 경남발전연구원에서 경남환경운동연합 주최로 열린 '도민 환경정책 참여 활성화와 지속가능한 환경 기반 구축을 위한 토론회'에서 발표한 '지방환경정책의 위기와 복원'에서였습니다. 조명래 회장은 이날 "무분별한 4대강 개발로 생태계가 절단나고 있지만 생태환경 보전을 책임져야 하는 환경부는 오히려 환경영향 평가 협의 과정에..

생태·환경의 미래도 블로그에 달려 있다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2010 환경언론 강좌에서 처음 제게 주신 주제는 '기사 발굴의 이론과 실제' 그리고 '기사 작성 기초'입니다. 그런데 그것을 두고 제가 별로 드릴 말씀이 없다고 말씀드렸더니 그러면 좀 자유롭게 스스로 중요하다 여기거나 얘기하고 싶은 바를 말해도 좋다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저는 '고맙습니다~~' 아뢰었습니다. 물론 그렇다 해도 '기사 발굴의 이론과 실제'나 '기사 작성 기초'에 대해서도 조금은 말씀드려 보겠습니다. 그러고 나서 블로그를 하면서 얻은 경험과 느낌을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블로그가 과연 무엇이냐 하는 데서부터 블로그를 잘 하려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는지도 조금 얘기해 올리겠습니다. 1. 주체 그리고 관점이 중요하다 모든 기사가 그렇지만 환경·생태쪽은 더욱 그런 것 같..

생태=초록은 편견·고정관념이다

1. 뜬금없이 든 생각 초록 또는 녹색이 생태계와 환경운동을 대표 상징하는 색일 수 있을까, 그렇게 여기는 것은 편견 또는 고정 관념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번쩍 든 적이 있습니다. 2009년 11월 12일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경남 환경 정책을 주제로 삼아 경남도 의회 경상남도 환경연구회라는 의원 연구 모임이 주관한 세미나 도중이었습니다. 주제 발표는 기후 변화 대응 저탄소 '녹색' 성장과 경남 산림 정책의 방향, 자원 재활용 정책 방안에 대해 전문 연구자들이 했고 저는 저탄소 '녹색' 성장을 두고 토론을 했습니다. 앞자리 토론석에 앉아 이런저런 생각을 하는데, 아마 내가 미리 발표문을 작성해 놓았기 때문에 마음이 좀 풀렸던 때문인지 아무래도 엉뚱한 생각을 한 것 같았습니다. 게다가 그날따라 메모까지 잘..

'찾아가는 환경교육'이 싫다는 선생님

1. 전문가 뺨치는 변영호 선생의 본업은 교육 거제 계룡초등학교 변영호 선생. 그동안 긴꼬리투구새우라든지 거제 지역 민물고기와 잠자리 조사·연구에서 남들이 따라올 수 없는 성과를 내었습니다만 본업은 어디까지나 교육입니다. 변영호는 이를 무엇보다 잘 알고 있으며 아울러 자신의 조사·연구 활동도 결국은 학생들 교육으로 이어져야 맞다고 생각합니다. 변영호가 2003년부터 하늘강 동아리를 꾸려 활동하는 까닭도 여기에 있답니다. 하늘강 동아리의 목적은 이렇습니다. ①학교 안에서 생태 환경 교육을 할 수 있는 기본 여건과 활동 방법을 만들어 해결한다. ②지역 생태계에 대한 다양한 경험과 이해를 통해 자연의 생명력과 자연의 아름다움을 느낀다. ③지역 생태계 기본 자료를 수집함으로써 관찰 탐구 능력을 키우고 지역사회를..

짐승 똥과 오줌이 사라지는 신기한 축사

1. 옛날, 지독했던 돼지우리 제게는 이런 경험이 있습니다. 풍경이 아름다운 바닷가 마을에 들어갔습니다. 2002년 경남 사천이었다고 기억이 됩니다. 들어갔더니 냄새가 코를 찔렀습니다. 둘러보니 사람도 없었습니다. 그래 이리저리 둘러보니 냄새가 어디서 나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냄새의 원인은 돼지 우리였습니다. 마을 곳곳에 있는 돼지 우리들은, 지붕과 벽이 콜타르 칠이 돼 하나로 붙어 있었고 창문 비닐 비료 포대로 막혀 있었습니다. 그런데도 냄새가 진동을 했습니다. 그래 호기심에 문 틈으로 안을 엿봤더니, 돼지들이 그야말로 몸을 돌릴 여유도 없이 빽빽하게 들어 있었습니다. 여기 이 돼지들을 '꿀꿀'거리지 않았습니다. 비명을 질러대고 있었습니다. "꽤애애액, 꽤애액' 이렇게 말입니다. 돌아나왔습니다 보기 ..

조선일보가 15년 전에 저지른 잘못

1. 글을 써서 밥 벌어 먹는 사람으로서 저는 조선일보를 곱게 생각하지 못합니다. 왜냐하면 자기네가 캠페인을 한답시고 엉뚱하게 낱말 하나를 완전히 버려 놓았기 때문입니다. 조선일보는 1994년 여름 이른바 '환경 캠페인'을 벌입니다. '샛강을 살립시다'입니다. 방우영이 쓴 자서전이랄까 회고록이랄까인 에도 나옵니다. 233쪽에서 "'쓰레기를 줄입시다' '샛강을 살립시다' '산업화는 늦었어도 정보화는 앞서가자'는 캠페인과…… 를 그(안병훈)가 주도했다."고 적었습니다. 조선일보는 여기서 샛강을 지류(支流) 아니면 지천(支川)이라는 뜻 정도로 썼습니다. 그리고 자치단체나 새마을운동단체 등을 끼고 관련 리플렛을 만들어 수백만 수천만 장 뿌려댔습니다. 모든 국민이 중독이 됐을 정도였습니다. 짐작하셨겠지만, 조선일..

잘못 수입한 '지속 가능'이란 단어

환경단체가 환경은 잘 지키는지 모르지만, 우리말은 그다지 제대로 지키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소벌'이라는 훌륭한 이름을 팽개쳐 버리고 '우포(牛浦)'(바로 그 이름난 창녕의 우포 말입니다.)라는 탁상 행정 용어를 골라잡은 데서도 알 수 있습니다. 이와는 달리 우리말의 특성을 잘 몰라서 그리하는 경우도 있는 것 같은데 그런 대표 가운데 하나가 바로 '지속 가능(한)'이라는 낱말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지속 가능(한)'은 곧잘 '개발' 또는 '발전'을 뒤에 달고 다니는데요, 이러면 우리말에서는 "개발 또는 발전이 지속 가능하다."고 읽히기 십상입니다. 실은 '자연이 지속 가능한 개발'이라는 말인데(엄밀하게 따지면 '가능(한)'도 문제가 있습니다.), 주어인 '자연이'가 생략되는 바람에 일어나는 착각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