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저런 생각-김주완

애독하던 문예지에 내 글이 실렸다

기록하는 사람 2008. 11. 19. 20:44
반응형
[창작과 비평]은 문학청년의 꿈을 키우던 대학시절 내가 가장 열심히 읽었던 책이다. 거기서 진행되던 민족문학 논쟁을 통해 사회의식에 눈을 떴고, 사회과학 이론이나 역사에 대한 관심을 확장하게 된 것도 [창비]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그래서인지, 백낙청 선생의 이론에 동의하지 못하는 부분이 많아진 요즘에도 [창비]에 대해서는 일종의 경외감 비슷한 것을 갖고 있다.

그런 [창비]의 2008년 겨울호에 처음으로 내 글이 실렸다. 그것도 맨 앞자리에. 비록 '독자의 목소리'란에 실린 짧은 글이지만, 그동안 내 글이 실렸던 다른 매체를 보는 것과 뭔가 다른 감흥이 있다.

별 내용은 없는 단상에 불과한 글이지만, '기념'하는 의미에서 올려본다. 독자의 목소리에 실리면, 글쓴이에게 1년 구독권을 준다고 한다. 공짜로 1년을 더 보게 됐다. 하하.


진단은 적절했지만, 과제는 여전히 막연
뚜렷한 성과없이 사그라지고 있던 촛불에 답답함을 느끼고 있던 차에 배달된 창비의 특집이 반가웠다. '이명박정부, 이대로 5년을 갈 것인가'라는 주제의 글 네 편은 내 갈증을 풀어주리라는 기대를 갖기에 충분했다. 하지만, 다 읽고 난 뒤 든 느낌은 여전히 답답함 그 자체였다. 물론 다들 현 정국에 대한 진단과 분석은 공감할만 했다. 특히 운동세력과 시민들 사이에 가로놓인 장벽을 지적하며 "운동세력으로선 이 장벽을 넘어 대중과 소통하는 것이 사활이 걸린 문제"라는 한홍구 교수의 주장은 나 역시 절실하게 느껴오던 것이다.

문제는 글에서 제시된 이후 전망과 과제가 하나같이 막연하거나 다소 뜬금없었다는 것이다. "우리 사회의 가장 어두운 곳에서 고통받는 이들 스스로 촛불을 들 수 있어야"(한홍구), "87년체제의 보수적 재편에 제동을 거는 것에서 더 나아가, 87년체제를 민주적으로 재편"(김종엽),  "협동조합, 기업의 사회적 책임, 사회적 기업이 뚜렷한 역할을"(이일영), "지역주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새로운 정치적 조직을"(하승수) 등 주장이 틀렸다는 게 아니다.

촛불 이전에도 있어 왔고, 촛불이 없었더라도 계속 나올 법한 이야기에 불과했다는 것이다. "동서고금의 역사를 살펴볼 때 장기전이 되면 분열하는 것은 바리케이드 안쪽"(한홍구)이라는 말에 위안을 삼고 기다리기에 현실은 너무 구체적이다.
김주완, 경남도민일보 기자, kjw1732@hanmail.net

창작과 비평 142호 - 2008.겨울 - 10점
창작과비평 편집부 엮음/창비(창작과비평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