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로에서 뺨 맞고 한강에서 화풀이 한다'는 속담이 있다. 강자에게 당한 설움을 엉뚱한 약자에게 푼다는 말이다. 프란츠 파농이 제시한 '수평 폭력'의 심리적 기제와 비슷하다. 자신을 억압하는 거대 권력의 수직 폭력에는 저항하지 못하고 자신과 비슷하거나 만만한 상대에게 분노를 표출하는 심리다.
권력자는 사람들의 이런 심리를 통치술로 활용한다. 대표적인 것이 1923년 관동대지진 당시 흉흉해진 민심을 수습하기 위해 일본 정부가 조선인과 중국인을 희생양으로 삼은 것이다. 일본 내무성은 "재난을 틈타 이득을 취하려는 무리들이 있다. 조선인들이 방화와 폭탄에 의한 테러, 강도 등을 획책하고 있으니 주의하라"고 경찰에 지시한 내용을 언론에 흘렸다. 이는 "조선인과 중국인들이 폭도로 돌변해 우물에 독을 풀고 방화·약탈을 하며 일본인을 습격하고 있다"는 거짓 소문으로 번졌고, 분노한 일본인 지진 피해자들은 자경단을 조직해 무차별적으로 조선인과 중국인을 학살했다. 그렇게 학살된 조선인이 2만여 명에 달했다.
1923년 9월 10일자 매일신보. 신문에는 '관동대지진 당시 조선인들이 폭동을 조장하고 있다'는 내용의 기사를 다루고 있다. @한국어 위키백과
우리나라 사람들이 중국인들을 학살한 일도 있다. 1931년 만주로 이주한 우리 농민들과 중국 농민 사이에 수로 공사를 둘러싼 충돌이 발생했다. 그러나 양측 모두 큰 피해자는 없었다. 일본은 이 사건을 조선인과 중국인을 이간질하는 데 이용했다. 허위정보를 제공해 <조선일보>가 호외로 '만보산에서 중국농민과 조선농민이 충돌해 많은 조선인이 피살됐다'고 보도한 것이다. 이는 국내에 있는 조선인들의 민족 감정을 자극해 부산 천안 평양 등 전국 각지에서 중국인에 대한 습격사건이 벌어졌다. 중국인 상점과 가옥이 파괴되고 127명이 학살됐다. 부상자도 400여 명에 이르렀다.
만보산 사건 이후 파괴된 평양의 화교 거리. 1931년 7월. @한국어 위키백과
그랬다. 1923년 관동에서 조선인은 일본인 지진피해자들에게 만만한 상대였고, 1931년 우리나라에서 중국인은 또한 만만한 상대였다. 정작 책임을 져야 할 일본정부에는 모두들 침묵했다.
이런 심리는 우리 주변에서도 흔히 발견할 수 있다. 우선 나도 그랬다. 8남매 중에서 다섯 번째인 나는 열 살 터울의 막내 남동생이 태어나기 전까지 우리 집의 3대 독자였다. 귀한 아들이었고, 누나들도 내 앞에서는 쩔쩔 맸다. 그러나 운동신경이 둔해 친구들 사이에서 골목대장은커녕 졸병 신세를 면치 못했다. 초등학교 시절이었다. 내가 누나들에게 또 어떤 횡포를 부렸나보다. 누나 중 한 명이 말했다. "바깥에선 힘도 못쓰면서 집안에서만 대장이네."
그렇다. 집안에서 폭군으로 군림하는 가장은 바깥에서 대접이나 존경 받을 일이 없는 '찌질이'일 가능성이 높다. 여성과 장애인, 전라도 등 소수자를 비하하고 조롱하는 이들일수록 스스로 뭐 하나 내세울 게 없는 콤플렉스에 사로잡인 이들이 많다.
지금 우리 사회를 둘러봐도 그렇다. 국무총리 황교안의 병역면제 비리엔 관대하지만, 가수 유승준의 병역기피에는 게거품을 품는 사람들, 국가의 세월호 구조 실패와 진실 은폐에는 침묵하면서 유가족의 보상금에 비난 목소리를 쏟아내는 사람들도 눈여겨보면 사회적 약자들이 많다. 메르스 방역에 실패한 국가권력과 대통령을 감싸면서 오히려 피해자인 메르스 환자에게 원망을 돌리는 심리도 그렇다.
앞서 두 역사적 사건에서도 봤듯이 국가권력이나 기득권세력은 이러한 수평 폭력을 교묘하게 이용하고 조장한다. 생각해보자. 나는 과연 여기서 얼마나 자유로운가.
'지역에서 본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쁨을 아는 몸과 고통을 아는 몸 (0) | 2015.07.21 |
---|---|
팩트의 힘은 강하다는 걸 보여준 영화 레드 툼 (1) | 2015.07.14 |
포크레인 타고 해저 42미터까지 내려간 남자 (1) | 2015.07.07 |
올해 진실의 힘 인권상 강기훈 씨 선정 (0) | 2015.06.27 |
따오기 인공번식은 동물원도 할 수 있다 (0) | 2015.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