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에서 본 세상

도요오카 탐방기① 봉순이와 제동이의 고향

김훤주 2015. 4. 10. 18:00
반응형

◇일본에서 날아온 황새 두 마리

 

일본 효고현(兵庫縣) 도요오카시(豊岡市)는 '봉순이'의 고향이랍니다. 암컷 황새 봉순이는 2012년 4월 6일 도요오카시 이즈시초(出石町) 인공둥지탑에서 태어났습니다.

 

효고현에서 가장 넓은 도요오카시는 인구가 8만9000명 수준으로 1955년부터 지금껏 60년 동안 황새 보전과 복원을 위해 활동해 오고 있습니다.

 

봉순이는 발목에 'J0051'이라 적힌 가락지를 끼고 있습니다. J0051은 같이 태어난 수컷 'J0052'와 더불어 부모 둥지에서 두 달 동안 보살핌을 받으며 자라다 6월 11일 독립했습니다.

 

그러다 두 살 생일을 스무 날 앞둔 2014년 3월 18일 대한해협을 건너 김해 화포천과 봉하·퇴례 마을 일대에 날아들면서 '봉순이'이라는 이름을 얻었습니다. '봉하마을을 찾아온 암컷 황새'라는 뜻이랍니다. 봉순이는 일본에서 태어난 황새 가운데 처음으로 일본 국경을 벗어났다는 기록을 남겼습니다.

 

올 3월 돌아온 봉순이. 경남람사르환경재단 이찬우 박사 사진.

 

앞서 2013년에도 일본 출신 어린 황새 4마리가 12월 12일 대마도까지 건너간 적은 있었습니다. 대마도는 부산과 거리가 49.5km뿐이어서 당시 일본서는 한국으로 건너갈 수 있지 않을까 해서 눈길을 끌었지만 실제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제주도에서는 올 2월 8일 도요오카가 고향인 또다른 황새 한 마리가 발견되기도 했습니다. 사상 두 번째로 한국을 찾은 이 도요오카 출신 황새는 다리 가락지 'J0092'를 통해 2014년 6월 사육장에서 야생으로 풀려난 어린 수컷임이 확인됐습니다.

 

이 황새는 'J0092'는 '제주도를 찾은 수컷'이라는 뜻으로 '제동이'이라는 이름을 얻었습니다. 제동이는 봉순이한테 조카뻘이 된다고 합니다. 도요오카에서 김해까지 거리는 대략 800km입니다.

 

일본 도요오카시의 황새. 경남람사르환경재단 이찬우 박사 사진.

 

봉순이는 봉하마을에 9월까지 머물다 섬진강이 있는 경남 하동과 천수만이 있는 충남 서산으로 옮겨가 지냈습니다. 봉순이는 올해 3월 9일 봉하마을로 돌아왔습니다.

 

그동안은 중국 북동부나 러시아에서 겨울을 나기 위해 한반도를 찾은 황새(철새) 서너 마리 그리고 충북 청원군 한국교원대 청람황새공원에서 탈출(2014년 4월 28일)한 암컷 황새 '미호'와 함께 지냈습니다.

 

◇봉하마을은 봉순이의 ‘새 고향’이 될 수 있을까?

 

1955년부터 황새 보호와 증식 활동을 벌여온 도요오카시는 봉순이를 두고 반가움과 안타까움을 한꺼번에 쏟아냈습니다. 도요오카시는 인공사육장에서 길러오던 황새를 2005년부터 야생에 풀어(2014년 3월 현재 87마리) 왔는데 JI0051이 처음으로 한국까지 날아간 것이어서 반가워했습니다.

 

한편으로는 도요오카 야생에 황새가 많아지면서 상대적으로 먹이가 모자라진 탓에 대한해협을 건너지 않았을까 해서 안타까워했습니다. 실제로 먹이가 모자라지 않으면 갖은 비바람을 무릅쓰고 바다를 건널 필요는 없는 것입지요.

 

철새 황새들은 3월이면 북쪽으로 돌아가는데 '봉순이'도 그들과 동행하지 않을까 여겨졌으나 3월 9일 그런 예측을 깨고 봉하마을로 돌아왔습니다. 봉순이가 보기에 봉하마을과 화포천 일대는 자기가 살기에 적당한 곳이었던 것입니다.

 

인공둥지 위에 앉은 황새 두 마리. 경남람사르환경재단 이찬우 박사 사진,

 

실제 화포천 일대에는 황새 먹이가 많고 봉하마을에서는 농약 쓰지 않는 농사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일본 도요오카시가 고향인 봉순이에게 봉하마을과 화포천 일대가 새로운 고향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지가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습니다.

 

◇황새가 불러온 한-일 교류

 

도요오카 황새가 김해에 날아들자 도요오카에서는 2014년 7월 25일 기노사키초등학교 등 7개 학교 아이들이 화포천을 찾았습니다. 10월 11~12일에는 마노 츠요시 부시장 일행이 와서 '일본의 황새 복원과 미래' 강연도 했습니다.

 

봉순이의 한국행은 일본 사람들의 한국 방문만 불러오지는 않았습니다. 2015년 2월 도요오카시는 '황새를 통한 생태관광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해 습지 보호·생태 교육·환경 보도를 하고 있는 한국 사람들을 초청했습니다.

 

이번에 초청을 받아 일본 도요오카시를 찾은 한국 일행. 경남람사르환경재단 이찬우 박사 사진.

 

이쯤 되면 도요오카 일본 사람들이 처음부터 황새를 팔아먹으려고 보전과 복원에 나섰고 이제 상품화에 본격 나선 것 아니냐고 미심쩍어할 수도 있겠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그렇지 않았습니다.

 

도요오카시 황새 관련 활동은 세 가지가 주축입니다. 하나는 황새 증식·복원을 위한 연구·실행이었고 둘째는 황새가 지속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자연 환경 조성이었으며 마지막은 그런 가운데 인간도 손해 보지 않고 살 수 있는 조건 마련이었습니다.

 

이 모든 것은 황새와 인간의 공생을 최고 상위 목표로 삼고 있었습니다. 황새 관련 생태관광 활성화란 목적을 충족시키는 수단일 따름이지 그 자체로서 목적은 아니었습니다. 2월 12~14일 2박3일에 걸친 도요오카 탐방은 이렇게 시작됐습니다.

 

◇도요오카시 황새 야생 복원 역사

 

도요오카시는 황새가 마지막까지 살았던 지역입니다. 1930년대만 해도 100마리가 넘엇는데 30년도 안돼 절반 아래로 줄었습니다.

 

경남람사르환경재단 이찬우 박사 사진.

 

1955년 사카모토 마사루 효고현 지사는 황새보호협찬회를 조직해 명예회장을 맡고 토요오카 시장에게는 회장을 맡겼습니다. 협찬회는 초·중학생과 교사 행정 관계자들에 대한 홍보와 교육을 먼저 진행했습니다. 특히 도요오카고교 생물부는 58~63년 후쿠다(福田)에 둥지를 튼 황새를 날마다 찾아 기록했습니다.

 

1958년 협찬회는 다지마황새보존회로 이름을 바꾸고 어른 황새 14마리 어린 황새 1마리를 확인했고 이듬해에는 어른 황새 2마리를 더 찾아냈습니다.

 

1959년 도요오카시 유루지(百合地)에 인공둥지탑 2개도 설치했습니다. 첫 인공둥지탑이었는데 곧바로 황새가 여기에 둥지를 틀기 시작했고 1971년 죽은 도요오카시 최후 야생 황새도 여기를 사용했습니다. 황새 야생 번식은 1959년 도요오카시 후쿠다에서가 마지막이었습니다.

 

1962년 황새보존회는 인공사육과 인공부화 필요성을 처음 거론했습니다. 1963년 문부성 문화재보호위원회와 효고현 교육위원회가 모여 황새 인공부화·사육 방침을 정했습니다. 1964년 도요오카시 노조(野上) 골짜기를 황새사육장(지금 황새고향공원 보호증식센터) 터로 정했습니다.

 

1965년 2월 11일 황새 한 쌍을 사로잡아 인공 번식을 시작했습니다. 그 뒤에도 일본 전역에서 11마리를 잡아 인공 번식을 시도했으나 모두 실패했습니다.

 

경남람사르환경재단 이찬우 박사 사진.

1985년 7월 27일 러시아(당시 소련) 하바롭스크에서 야생 황새 수컷 4마리와 암컷 2마리를 들여왔고 1988년 도쿄다마동물공원에서 알 3개가 부화하는 첫 성공을 거뒀습니다. 1989년 도요오카시 황새사육장도 두 번째로 인공 번식에 성공했습니다.

 

16년이 지난 2005년 9월 24일 오후 2시 황새고향공원에서 3500명이 지켜보는 가운데 황새 다섯 마리가 하늘로 날아올랐습니다. 인공 번식으로 태어난 황새가 100마리를 넘은 시점이었습니다. 이와 같은 야생 방사는 2009년까지 행해졌습니다.

 

2007년에는 방사된 황새 한 쌍이 자연 상태에서 번식에 성공했습니다. 야생 번식은 1959년 이후 48년만이었습니다. 2012년에는 방사 2세대 황새들이 야생 번식해 3세대 황새가 태어났습니다. 3세대 황새는 야생에서 태어난 부모가 자연스레 짝을 지어 태어난 진정한 야생이었습니다.

 

2014년 2월 현재 도요오카 하늘을 날아다니는 황새는 72마리이며, 알을 낳고 새끼를 치는 부부는 9쌍입니다.

 

김훤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