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본 곳

단속 안 되는 단속사와 부농들의 남사마을

김훤주 2011. 12. 26. 17:10
반응형
산청에는 신라 시대 지었다는 단속사터가 자리잡은 탑동과 더불어 옛집이 즐비하게 늘어선 남사마을이 이웃해 있습니다. 물론 붙어 있지는 않고 7km정도 떨어져 있습니다. 이번 걷는 길의 처음과 끝에 이 둘이 매달아 봤습니다. 우리 역사와 문화가 담겨 있는 여정인 셈입니다.

12월 4일 아침 8시 30분 산청 단성면 소재지에 가 닿았습니다. 10분 남짓 단성 장터 일대를 돌면서 시골 번화가의 그럴 듯하게 남은 모습을 눈에 담다가 8시 50분 즈음해 탑동 마을을 거쳐 청계리까지 가는 버스를 탔습니다.

차삯은 1400원이고요, 시간은 20분이 채 걸리지 않는답니다. 이처럼 탑동 가는 버스는 진주를 출발해 단성을 거치는데, 하루에 오전 8시 50분, 오후 1시 40분, 5시 15분, 7시 55분(단성 기준) 넉 대밖에 없습니다.


마을 앞에는 석탑 둘이 나란히 서 있습니다. 단속사지 동·서삼층석탑인데 동네 어른들은 그냥 수탑과 암탑이라 이릅니다. 나누는 기준은 간단합니다. 동탑은 꼭대기 머릿돌이 거의 깨어지지 않은 채 남았기에 관(冠)을 쓴 것 같다고 수탑이며 많이 깨어진 서탑은 모자를 쓰지 않은 민머리 같다고 암탑입니다.

가까이 보이는 녀석이 서탑=암탑입니다.


탑 뒤쪽 민가 있는 자리가 금당터인데 아직 주춧돌이 있다고 합니다. 안으로 조금 들어가면 이른바 정당매(政堂梅)가 있습니다. 고려 시대 단속사 들어와 공부하던 강회백과 회중 형제가 심은 매화로 640년 가량 됐답니다. 강회중의 벼슬이 정당문학이었다고 해서 후세 사람들이 이리 이름을 붙였습니다. 조금 더 위에는 바람이 불 때마다 서걱서걱 소리를 내는 대나무가 숲을 이뤘습니다.

오른쪽 정당매와 왼쪽 정당비각.


탑동은 느낌이 아주 좋습지요. 조용하고 그윽하고 아늑합니다. 참 좋은 절터라서, 바깥에서는 차게 몰아치는 바람도 여기 들면 잦아들 것 같습니다. 햇살도 따사롭게 내리쬡니다. 남향이면서 동쪽으로 트여 있고 서쪽 산이 높지 않은데다 마을이 둘레보다 봉긋하게 솟아 있는 지형 덕분이겠다 싶습니다.

어쨌거나 단속사(斷俗寺)는 말로만 속세(俗)와 끊어졌지(斷) 실제로 그렇지는 않았던 모양입니다. 여기에 신라 경덕왕 초상화가 걸려 있었다는 얘기나 고려 시대 왕사(王師)였던 스님 탄연(坦然)을 기리는 탑비가 여기서 수습된 점이 그렇습니다. 속세가, 그것도 권력이 여기 들어와 있었던 것입니다.


벼슬을 노리고 공부했을 이들이 심었다는 정당매도 속세와 끊어지지 않았던 증거가 됩니다. 마을 들머리 시비에 새겨져 있는, 남명 조식이 여기 찾아온 사명대사에게 줬다는 한시 또한 마찬가지가 되겠지요.


하지만, 여러 깨달음 이뤘다는 석가모니 원래 가르침에는 속세와 속세 아님의 구분이 없습니다. 그러니 이제 와서 단속이니 아니 단속이니 하는 자체가 시빗거리는 될 수 없는 노릇이겠습니다. 세상 만물을 있는 그대로 보는 경지에 이르면 속세도 없고 속세 아님도 없으니 당연히 이런 구분 자체도 없는 것입니다.

한 농기구 창구에 널린 무청 시레기.


이런저런 생각을 해대면서 마을을 한 바퀴 돌아 눈맛을 즐긴 다음에는 아래쪽 소나무 우거진 데로 나아갑니다. 곧게 선 잘 생긴 당간지주가 둘레 풍광과 잘 어울립니다. 눈길로 아래를 넘겨짚어보는 재미도 있습니다.


잠시 노닥거리다 옆으로 눈길을 주면 사람들 심은 무들이 머리가 잘린 채 널려 있습니다. 몸통은 버려졌고 다만 잘라낸 무청들이 커다란 포대에 담겨 있습니다. 이것들 도시로 들어가 밥집 해장국에 시레기로 올라오겠지요.


아스팔트길로 내려가 내쳐 걷기 시작했습니다. 아래쪽 운리 마을 너른 주차장에는 관광버스가 한 대 와 있습니다. 내려가지 않고 올라가지 싶은 일행들은 옷매무새를 바로잡고 배낭을 고쳐맵니다. 그러거나 말거나 조금더 가다가 마을 하나를 오른편으로 넘긴 다음 남사천을 따라 나 있는 둑길로 올라섭니다.


둑길은 그다지 길지 않습니다. 얼마 못 가 둑이 끊어지니 길도 따라서 끊어집니다. 그렇지만 여기에도 즐거움은 있습니다. 푸른빛이 비치는 하얀 바위들이 좋고 호암(虎岩)마을 주민들 기우제단도 있습니다. 크지는 않지만 시원스럽게 물줄기가 떨어지는 폭포도 하나 있답니다.


물가에 늘어서 있는 갈대들도 괜찮은 볼거리랍니다. 하얗게 꽃을 피웠던 자취를 말끔하게 털어낸 꽃대가 바람에 일렁거립니다. 꽃술이 보풀보풀 일었을 때는 모든 갈대가 다 그럴 듯하지만, 그 꽃술을 제 때 털어내지 못하면 그 때부터 바로 아름답지 못하게 되지요. 누구든 무엇이든 때가 되면 머물지 말고 떠나야 하며, 때가 되면 붙잡지 말고 놓아야 하는 것이랍니다.

둑길에 늘어서 있는 갈대.


둑길 끊어지는 데서는 아쉬움을 품지 말고 곧바로 논두렁을 타고 아스팔트길로 나와야 합니다. 그러지 않으면 헛고생만 하지요. 나와서 내달리다 보면 왼편에 제대로 들어선 건물인데도 '오시면 기분 좋은! 포장마차'라는 간판이 걸린 단층짜리 집이 나옵니다. 야트막한 고개 즈음인데, 오른편에는 잘 자란 정자나무가 심겨 있습니다.

물론 스쳐지나가도 그만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놓치면 아까운 물건이 오른쪽 개울가에 하나 있습니다. 정자나무 뒤편 끊어질 듯한 오솔길을 따라 30m 정도 내려가면 선돌이 하나 있고요, 더나아가 개울로 내려서서 비탈 쪽 바위를 보면 왼쪽 위에 '廣濟岩門'(광제암문) 네 글자가 단정하게 새겨져 있거든요. 옛날 단속사의 출입문인 셈인데요, '넓게 구하려고 드나드는 바위문'이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마주 보이는 바위 가운데 즈음 하얀 데에 '광제암문' 글자가 새겨져 있습니다.

광제암문 바위들이 이처럼 마주보고 있는 원숭이 같이도 보입니다.


고개를 넘으면 입석리 용두마을입니다. 다시 안으로 들어가 둑길을 걷습니다. 들판 툭 트인 시원함과 햇살이 쏟아지는 따뜻함을 함께 누릴 수 있었습니다. 김장철을 맞아 절인 배추를 흐르는 냇물에 씻는 요즘 보기 드문 장면도 마주친답니다.

농로 오른쪽 길섶에 배추가 심겨 있습니다. 개울 건너편에 등이 보이는 할머니는 마늘 고추 같은 양념을 다듬고 있었습니다. 옆에 심겨 있는 배추를 뽑아 김장을 담글 요량이라 했습니다.


여기 둑길은 앞에 둑길보다 길기는 하지만 끝까지 이어지지 않는다는 점은 마찬가지입니다. 마찬가지 논두렁을 타고 아스팔트길로 나와야 합니다. 물론 여기는 아스팔트길도 걷기 좋은 시골길이랍니다. 그러다 지리산 중산리 올라가는 국도와 이어지는 다리가 나올 즈음 해서 왼쪽 둑길을 탑니다.

상수원 보호 구역이라 남사천 일대 논밭은 정부가 많이 사들였습니다. 물이 흥건하게 고인 논은 앞으로 습지로 조성될 계획입니다.


둑길은 끝에 남사마을이 매달아 놓고 있습니다. 옛집 구경을 즐기는 이라면 남사마을에서 몇 시간이고 전혀 지겹지 않게 보낼 수 있습니다. 조선 후기 신분 상승 욕구를 도드라지게 내보이는 부농들의 건축 양식이 많이 남아 있다는 곳이지요.


밥집에 들어가 떡국을 한 그릇 사 먹고는 단성 나가는 버스(1200원)를 1시 정각에 탔습니다. 진주(또는 부산)과 중산리(또는 대원사)를 잇는 버스가 여기 남사 마을에 30분마다 들른답니다.


김훤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