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에 대한 교육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언제인지 누구에게인지는 잘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장소는, 경남 마산 양덕동 우리 <경남도민일보> 3층 강당입니다.
좋은 교육은 받고 나면 머리 속이 가지런해집니다. 여태 생각은 이리저리 관련지어 하고 있었지만 뒤엉겨 있던 것이, 언제 그랬느냐는 듯 질서가 잡힙니다.
그 날 교육을 받고 나서 느낌이 딱 그랬습니다. 상큼했습니다. 여느 때와 달리 제가 그 날 메모 준비를 하지 않아서, 급한 김에 마스크 들어 있는 비닐 봉지에다 몇 자 적었습니다.
신문이라는 미디어와, 신문 기자라는 인간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신문을 독자한테 팔고, 독자를 다시 광고주한테 팔아야 한다." 그렇게 하려면 필요한 것이 무엇일까?
1. 신문과 기자의 으뜸 의무는 진실이다.
2. 신문과 기자의 충성 대상은 (권력도 자본도 아니고) 오로지 시민이다.
3. 신문과 기자에게 필요한 본질은 사실 확인의 규율이다.
4. 신문과 기자는 취재 대상으로부터 독립을 유지해야 한다.
5. 신문과 기자는 권력에 대한 '독립적' 감시자다.
6. 신문은 공공의 비판과 타협을 위한 포럼을 마련해야 한다.
7. 신문과 기자는 최선을 다해서 중요한 사실을 흥미롭게 구성함으로써 독자들로 하여금 그들의 삶과 관련돼 있는 것으로 인식되게 해야 한다.(남을 구경하게 하는 뉴스는 필요없다.)
8. 신문과 기자는 비중에 맞게(큰 것은 크게 작은 것은 작게) 보도해야 한다.
9. 신문과 기자는 양심을 실천해야 한다.
10. 시민들도 뉴스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시민은 이미 'New Media Journal Prosumer'다.) 경남도민일보 지면평가위원회 회의 장면입니다.
Prosumer : 프로슈머. producer+consumer. 생비자. 생산 소비자.
신문과 기자가 세상에서 어떤 노릇을 하면 가장 보람이 있는지를, 정말 깔끔하게 정리해 줬습니다. 이 가운데 하기가 쉬운 것은 없습니다. 다 어려운 것뿐입니다.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가장 어려운 것은 일곱 번째입니다. 저로서는, 독자들로 하여금 지금 읽고 있는 기사가 바로 자기 자신과 관계가 있는 것이라는 느낌을 주기란 그야말로 어렵습니다.
김훤주
'이런 저런 생각-김훤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 아래 초록 풀에서 느끼는 보람 (4) | 2010.02.16 |
---|---|
이한우보다 박노자가 좋은 까닭 (31) | 2010.02.13 |
신문과 기자가 가져도 좋을 욕심은? (12) | 2010.02.12 |
학교는 과수원과 닮은꼴이다 (2) | 2010.02.08 |
난꽃을 보니 공자의 군자론이 떠올랐다 (8) | 2010.02.08 |
탐험가 콜럼버스와 스텐리가 악당인 까닭 (17) | 2010.02.05 |
김주완 선생님!
블로그 스킨이 바뀌었네요?와아~이쁘네요^^
김주완 선생님 화팅 하셔요^^
비밀댓글입니다
여기서 말씀하시는 기자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이들로 바꾸어 놓아도 좋을 듯 합니다. 우연히 님의 블로그를 즐겨찾기 하여 보고 있습니다. 좋은 포스트를 제 블로그에 링크를 걸어 놓으려고 합니다.
고맙습니다. 별 볼 일 없는 글인데도 예쁘게 여겨 주셔서요. ^.^
블로거인 제 입장에선 7번이 좋네요. 7번을 통해서 다른 9가지에 대한 여력도 나올 것 같습니다.
^.^ 만난지 참 오래 됐네요.
거다란님은 생각만 해도 어마어마한 열정이 확 끼쳐집니다.
7번 항목이 저도 확~~다가오네요...
늘 감사드리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사랑님, 고맙습니다. 복 많이 받으세요.
복은 원래 생기지도 않고 없어지지도 않고 잡히지도 않고......
남을 구경하게 만드는 뉴스는 필요없다는 말이 가장 가슴에 와닿네요.
설 연휴동안 곰곰히 생각할 화두네요.
김훤주님
설연휴 건강하고 복되게 보내시길,,,
성심원님, 고맙습니다.
남을 구경하게 하는 뉴스는 필요 없다는 말을 확 느껴주시니 고맙습니다. ^.^
복 많이 받으세요....
공감하고 갑니다^^*
고맙습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