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에서 본 세상

'언론 특권의식' 비판, 반응은 이랬습니다

김훤주 2009. 5. 19. 19:36
반응형

5월 16일 한국언론정보학회 봄철 정기학술대회에서 제가 주제 발표를 하는 자리가 있었다고 앞서 말씀드렸습니다. '특별 세션 1 현업 저널리스트, 언론학계와 시민사회에 딴지를 걸어보다'가 주제였습니다.

발제문 전문 : 언론노동자 특권의식, 과연 문제없나

여기서 저는 여러 말씀을 드렸습니다. 이 가운데 이른바 '언론인'의 급여와 특권의식에 대해서도 한 마디 얘기를 올렸습니다.(여기 '언론인'은, 제 표현에서는 '보도 매체 종사자'가 됩니다만.) 급여는 많은 편이고 특권의식도 아주 크다는 요지였습니다.

급여에 대해서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올해 2월 통계청이 '2007년 근로자 한 달 평균 임금이 257만7000원'이라 발표했는데, 매체 종사자 급여는 그 평균 임금의 80~90% 수준이면 알맞다고 본다. 매체 종사자 급여를 어느 수준으로 할지는 매체를 우리 사회에서 어떤 집단과 맞출지를 결정하는 문제다."

그러면서 "기자들이 시내버스를 타면 시내버스 기사가 많이 나오고, 자가용 자동차를 많이 몰고 다니면 자가용 자동차 기사가 많아진다. 언론을 산업으로만 보면 이런 논의는 아예 의미가 없겠지만 공공성과 공익성을 좇는다는 측면에서는 어떤 급여 수준이 적당한지를 진지하게 따져봐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오른편 뻘쭘하게 서 있는 녀석이 바로 저랍니다. '미디어오늘'의 안경숙 기자가 찍어주셨습니다.

특권의식에 대해서는 이랬습니다.

"똑같이 불법을 했는데도 'MBC'본부장은 구속되지 않은 반면 민주노총 이석행 위원장은 구속이 됐다. 본부장이 구속돼 실형을 살아야 옳다는 얘기가 아니고 오히려 거꾸로다. 다른 모든 노동운동가도 민주주의 활동가도 본부장과 같은 대접을 받아야 한다는 취지다."

그러면서 "특권의식에 대한 문제제기다. 한 나라 노동조합 총연맹의 대표를 이토록 마구잡이로 구속하는 데 대해 비판하는 보도는 본 적이 없다. 당연하게 여긴다는 얘기다. 이러는 한편으로 'MBC'본부장이 구속되지 않거나 'YTN'지부장이 금방 풀려나는 데 대해서도 당연하게 여긴다."고 얘기했습니다.

이에 대해 KBS 이강택 PD는 이렇게 토론했습니다. 이강택 PD는 잘 알려진대로 미국소의 광우병 위험을 프로그램으로 문제 제기한 '원조'입니다. 그 대가인지, 지금은 수원 무슨 연수원으로 쫓겨나 '여유롭게' 지내고 있다고 합니다.

"여러 문제가 누적돼 있다. 이런 문제점을 극우세력이 미디어 재편을 추진하면서 비판을 하고 활용을 한다. 임금, 광고, 수신료 등등이 그렇다. 이런 문제에 대해 우리는 쉽게 하는 말로 '민감한 사안'이라면서 의제에서 배제시켜 왔다. 근본적인 성찰이 필요하다."

"배부른 주체들이다. '이대로'라고 외친 사람이 누구냐? (입으로는 어떻게 했는지 몰라도) 다들 몸으로는 그렇게 외치지 않았느냐?"고 되물었습니다. 활발하게 비판을 제기해 잘못이 있다면 몸과 마음으로 고쳐나가야 한다는 얘기였습니다.

이근행 MBC 노조 본부장은 달랐습니다. 박성제 직전 본부장을 제가 거론한 데 대해, 임금 문제도 포함해서 말씀하기를, "잘못된 접근법이다. 그런 관점에서 잡을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 본부장 신병 처리는 우리가 아니라 저 쪽에서 하는 것이다."

어쨌든 그렇게 토론이 끝났는데, 저는 주제 발표를 한 저한테 다시 발언 기회가 오리라고 생각지 않았기에 그냥 이근행 본부장이 제 발언 취지를 잘못 파악했나보다 속으로만 여기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사회를 맡은 한국언론재단 소속 유선영씨가 얘기할 기회를 줬습니다. 그래 저는 이리 말했습니다.

"발제문을 보시면 바로 알 수 있듯이 본부장이 구속되지 않은 것이 잘못이라는 얘기는 전혀 하지 않았다. 다른 노동운동가는 보통 구속되고 마는데도, 'MBC' 노조 본부장은 불구속을 당연하다 여기는 언론계 분위기에서 특권의식이 느껴진다는 말이다."

급여 수준에 대해서는 "급여는, 매체 종사자가 사회를 어떤 계층의 눈으로 보느냐는 문제일 수 있다. 나아가 사회 구조를 바꾸는 사안이기도 하다. 이리 말하면 '빨갱이' 소리를 듣겠지만 광부 월급이 대학교수보다 세 배나 많은 나라도 있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이런 얘기는 '빨갱이'가 아니라도 충분히 할 수 있지 않나요? 이명박 대통령이 즐겨 말한, 황석영도 그렇다고 고개를 끄덕여준, '실용'이라는 관점에서 할 수 있는 얘기 아닌가요? 그 실용이, 대학교수의 실용이 아니라 광부의 실용이겠지만 말입니다.

김훤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