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살 #민간인학살 #한국전쟁 #곡안리
[정의]
1950년 8월 11일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곡안리 성주 이 씨 재실(齋室)에 피란해있던 이 마을 주민 150여 명이 미군의 공격을 받아 86명이 희생된 사건.
[역사적 배경]
곡안리는 진주시와 마산시 진동면을 잇는 2번 국도 상에 자리잡은 성주 이씨 집성촌으로 전쟁 당시 170여 가구가 모여 사는 큰 마을이었다. 또한 지금은 2번 국도가 쇠락했으나 당시는 진주-마산간 가장 주요한 도로 중 하나였다.
진주가 북한 인민군에 의해 함락된 7월 31일 이전까지 이곳은 전투도 없었고, 미군이나 국군 혹은 경찰로부터 소개 조치도 없었다. 따라서 주민 대부분은 마을에 그대로 남아 있었다.
그러나 8월 들어 마을 주변에 폭격이 시작되자 불안해진 주민들은 마을에서 뒤쪽으로 200m 정도 떨어진 성주 이 씨 재실로 피신해 150여 명이 함께 생활하기 시작했다. 재실은 인근에서 가장 큰 규모의 기와집이었다. 주민들이 재실로 피신한 후인 8월 4일 쯤 미군이 재실에서 300m 거리인 진전초등학교로 진주했다.
1999년 10월 4일 곡안리 학살사건을 최초로 보도한 경남도민일보. 사진의 할머니가 황점순 할머니다.
[경과]
재실에서 10여 일이 지나는 동안 인근 마을에서는 큰 전투가 벌어졌지만 이곳 재실만은 안전했다. 한 때 인민군들이 마을까지 내려오기도 했으나 주민들을 해치진 않았다. 주민들은 재실의 조상들이 돌봐주는 덕분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8월 10일이 되자 불길한 조짐이 일기 시작했다.
재실 아래로 보이는 마을에 미군들이 속속 들어오는가 싶더니 그날 저녁 어스름에 미군 1명이 통역관을 데리고 재실로 왔다.(이 통역관은 당시 재실의 주민 가운데 유일하게 영어를 할 수 있었던 이원순 씨(당시 26세)였다는 설도 있다.)
미군은 우선 주민들의 정체를 파악한 후 “여긴 작전지역이니 빨리 이곳을 떠나라”고 말했다. 이에 주민들이 “벌써 날이 어두워지는 데다 노인과 어린이들이 많아 밤중에 피란을 가긴 어렵다”고 하자 미군들은 “그러면 내일 아침 일찍 떠나라”고 말한 후 재실을 떠났다.
주민들은 밤새 짐을 챙기고 나갈 채비를 마쳤다. 다음날인 11일 주민들은 평소보다 일찍 아침식사를 마친 후 마루에 짐을 쌓아두고 미군을 기다렸다. 다시 통보가 올 것으로 알았던 것이다.
“막상 짐을 싸놓긴 했지만 어디로 가야할지 몰랐어. 그래서 미군이 피란갈 곳을 알려줄 줄 알았지.”
그 때였다. 재실에서 마을 사이 산자락 대밭 쪽에서 총소리가 나더니 미군 쪽에서도 막 총소리가 들려왔다. 그러더니 사방에서 재실에 총탄이 날아오기 시작했다. 실탄이 재실 기와에 맞는 소리가 마치 굵은 소나기 오는 것처럼 들렸으며 총격이 가장 심할 때는 귀가 멍하고 아무것도 들리지 않을 정도였다고 한다.
나중에 알고 보니 이때 마을 뒤 대밭을 정찰하던 미군들이 마을에서 2km가량 떨어진 산에서 내려온 인민군 선발대의 공격을 받아 미군 1명이 죽었다고 한다.
“아마 그 때문에 미군이 화가 났던 거야. 재실에서 총알이 날아온 것으로 잘못 알았던 게지.”
주민들은 재실에 있는 사람들이 피난민들이라는 것을 미군이 알고 있었음에도 미군 정찰병의 죽음에 대한 보복으로 재실을 공격한 것이 아닌가 생각하고 있다.
성주이씨 재실 마당에 있는 우물. 총탄 자국이 아직 남아 있다.
총탄과 포탄이 쏟아지자 순식간에 재실은 아비규환이 됐다. 주민들은 허겁지겁 양쪽 방과 부엌·마루밑·변소·돼지우리 등으로 숨어 들어갔다. 그러나 사격은 계속됐다. 하늘에는 비행기까지 날면서 기총사격을 해댔다. 박격포탄이 날아들어 ‘쾅’하는 소리와 함께 서쪽 방 지붕이 내려앉았다. 그 방에 있던 임산부(이귀득·당시 31세)가 온몸에 피를 흘리며 마당으로 기어 나왔다. 그녀는 목이 타는지 “물 물 좀…”하고 애원했지만 아무도 돌봐줄 여유가 없었다.
이렇게 한 시간쯤 지났을까. 잠시 사격이 주춤하는 듯 했으나 이내 비명이나 아이울음 등 소리만 들리면 다시 비오듯 총탄이 날아들었다.
재실에 그대로 있다간 모두 죽을 수밖에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황점순 씨(당시 24세)는 한 살 난 아들 이상섭을 안고 재실 뒤편 콩밭을 가로질러 뒷산을 향해 정신없이 내달렸다. 옆에서 함께 뛰던 시어머니가 ‘퍽’하는 소리와 함께 총탄을 맞고 쓰러졌다. 곧이어 그녀도 다리에 총탄을 맞고 쓰러졌다. 그녀는 온 몸에 8군데에 총탄과 파편을 맞았으나 구사일생으로 살아났지만, 아들 상섭과 시할아버지, 시어머니를 이곳에서 잃었다.
이일하(당시 4세)는 고모 조호선 씨가 딸(삼순·당시 2세)과 함께 자신을 안고 ‘작은 전각’(재실 관리인의 집) 변소에 숨어 가까스로 목숨을 건졌다. 그러나 조부모 이교영씨(당시 72세·독립운동가)와 변담래 씨(당시 74세), 현 우순(당시 10세)를 그 자리에서 잃었다. 이렇게 희생된 민간인이 모두 86명이었다.
오후 네다섯 시 무렵, 공격이 멎고 미군이 이제는 공격하지 않을 테니 피난을 가도 좋다고 하자 살아남은 사람들은 정신없이 바닷가 쪽으로 도망을 쳤다. 재실에서 도망나간 곡안리 주민들은 일부는 육로를 따라 마산을 거쳐서 진해, 부산 등지로 피난을 갔으며, 일부는 고현리 앞바다에서 미군 LST 등 선박 편으로 거제로 피난을 갔다.
2002년 곡안리사건을 취재중인 BC 다큐멘터리 제작팀을 필자가 인터뷰하고 있다.
재실에서 사망한 이들의 시신은 살아남은 주민들이 피난을 나갔다가 두 달 정도 후 돌아와서야 수습할 수 있었다. 무더웠던 날씨 때문에 재실 내부에 있던 시신은 뼈와 가죽이 말라붙어 있는 상태였고 밖에 노출되어 있던 시신은 비바람 등에 손상되어 뼈만 남아 있었기 때문에 옷이나 소지품 등으로 신원을 확인했다고 한다.
주민들에 따르면 추석 지나서 고향에 돌아와 재실에서 시신을 수습하는데 마당이며 마루 밑이며 온 사방에 시신이 다 널려 있는데다가 대충 가마니만 덮어놓은 시신도 많아서 무심코 발로 밟았다가 깜짝 놀랐던 기억이 있다고 말했다. 게다가 먹을 것이 없어서 그랬는지 돼지가 재실 안에서 시신을 물고 돌아다니기도 했다고 한다. 또한 임신부 이귀득 씨의 시신은 아기가 자연분만된 채 새까맣게 되어있었다는 증언도 있다.
[결과]
곡안리 민간인학살 사건은 1999년 10월 4일 <경남도민일보>에 보도되면서 세상에 알려졌다. 이후 경남도의회와 마산시의회에서 진상규명 대정부 건의문을 채택했으며, 2005년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기본법이 제정되고, 이 법에 의한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가 발족해 곡안리 사건을 조사한 결과 2010년 6월 30일 진실규명 결정을 내렸다.
또한 이 사건 희생자 중 1919년 3·1독립만세운동 당시 마산 삼진의거를 주도했던 이교영 선생은 2008년 대통령 표창을 받아 독립유공자로 추서되었다.
그러나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와 시민사회단체, 학계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민간인 학살 희생자들에 대한 배·보상 특별법은 제정되지 않아 아직도 희생자 유족들은 아무런 국가배상이나 보상을 받지 못하고 있다.
[참고 문헌]
김주완, <토호세력의 뿌리>(도서출판 불휘, 2006)
<미 지상군 관련 희생사건 진실규명 결정문>(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2010)
※이 글은 김주완이 집필하여 디지털향토문화재단에 실려있습니다.
'지역에서 본 한국현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네 촛불집회를 낱낱이 기록해야 하는 까닭 (0) | 2016.11.25 |
---|---|
기자 노릇도 재미가 있어야 하지요 (0) | 2016.11.03 |
황점순 할머니가 결국 요양원으로 들어갔다 (0) | 2016.10.05 |
수십년 원망했던 아버지, 이제야 진실을 알았습니다 (0) | 2016.07.10 |
홍준표 이창희 박대출 김재경의 민간인학살에 대한 입장 (1) | 2016.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