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본 곳

포로수용소는 거제를 어떻게 바꿨을까?

김훤주 2015. 6. 25. 07:00
반응형

1. 포로수용소가 왜 거제도에 있었을까

 

거제도 포로수용소 유적공원을 알리는 팸플릿에 적혀 있는 내용입니다.

 

"1950년 6월 25일 새벽 4시, 북한 인민군이 38도선 전역에서 일제히 기습남침을 개시하여 서울은 3일만에 함락되었다.

 

국군은 미군 및 유엔군의 지원을 얻어 낙동강 교두보를 확보하는 한편 맥아더 장군의 인천상륙작전으로 전세를 역전시키는 계기를 만들었다. 그러나 100만여 명의 중공군 개입으로 다시 38도선을 중심으로 치열한 국지전이 전개되었다.

 

 

전쟁 중에 늘어난 포로를 수용하기 위해 1951년부터 거제도 고현·수월지구를 중심으로 포로수용소가 설치되었고, 인민군 포로 15만, 중국군 포로 2만 등 최대 17만3천명의 포로를 수용하였는데 그 중에는 3000여 여자 포로도 있었다.

 

1951년 최초의 휴전회담이 개최되었으나 전쟁포로 문제에서 난항을 겪었다. 특히 반공포로와 친공포로간에 유혈살상이 자주 발생하였고, 1952년 5월 7일에는 수용소 사령관 돗드 준장이 포로에게 납치되는 등 냉전시대 이념 갈등의 축소현장과 같은 모습이었다.

 

 

1953년 6월 18일 한국 정부의 일방적인 반공포로 석방을 계기로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이 조인됨으로써 전쟁은 끝났고, 수용소는 폐쇄되었다.

 

1983년 12월 20일에 경상남도 문화재 자료 제99호로 지정, 보호되고 있으며, 지금은 일부 잔존 건물과 당시 포로들의 생활상, 막사, 사진, 의복 등 생생한 자료와 기록물들을 바탕으로 거제도 포로수용소 유적공원으로 다시 태어나 전쟁 역사의 산 교육장 및 세계적인 관광명소로 자리잡았다."

 

많은 사람들이 짐작하는대로, 거제도에 포로수용소가 들어선 까닭은 거제도가 크고 넓으면서도 육지와 끊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고립돼 있기에 가둬두기 좋았고 너르기 때문에 많은 인원을 '수용'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2. 다크 투어리즘은 아닌 것 같다

 

포로수용소 유적공원을 한 바퀴 둘러보고 드는 느낌은 "'다크 투어리즘'은 아닌 것 같다"였습니다. 전체 꾸밈새는 1950년 6월부터 1953년 7월까지 벌어졌던 전쟁도 나름 알차게 보여주고 포로수용소 당시 모습과 현황도 그럴 듯하게 돼 있었습니다.

 

 

하지만 역사 속 슬픈 현장을 둘러보며 굳이 교훈까지는 아니더라도 그런 현장에 걸맞게 무엇인가가 마음이나 머리에서 느껴지고 새겨지도록 돼 있지는 않았습니다. 어쩌면 놀이터 같이 여겨지기도 했고, 실제로 놀이 삼아 재미 삼아 둘러보는 사람들도 적지 않았습니다.

 

그렇다고 아쉽다거나 안타깝다는 얘기는 아닙니다. 무엇이 됐든 일부러 시간을 내어 들렀을 때 헛되지 않았다는 느낌만 갖게 해도 나쁘지는 않을 테니까요. 저 또한 이번 걸음에서 처음 듣고 보고 해서 배운 내용이 꽤 많습니다.

 

 

그러니 포로수용소 유적공원이 시설이 모자라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다만 지금 현재에 대한 응시가 모자라는 느낌이었습니다. '응시'라 하니 대단한 무엇 같지만, 다름 아니고 우리나라가 한반도가 아직 전쟁이 걷히지 않은 상태에 놓여 있다는 사실이 그다지 보이지 않더라는 말씀입니다.

 

3. 한반도에 진행 중인 전쟁을 걷어내려면?

 

굳이 말하지 않아도 누구나 아는 것이지만, 전쟁은 더없이 끔찍하고 잔인하고 비정하고 괴로운 실체이며 거제도 포로수용소 또한 그런 전쟁의 결과였습니다. 그리고 포로수용소조차도 어쩌면 전쟁 그 자체였다고 얘기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남북 대치 휴전 상황으로 아직 전쟁이 걷히지 않은, 그래서 자칫 잘못하면 곳곳에서 전쟁에 버금가는 살상이 벌어지고 긴장 국면이 만들어지는 이 한반도입니다. 아직도 끝나지 않은 이 전쟁을 넘어서려면 어떤 노력들이 있어야 하는지 정도는 조금 알려야 하지 않을까 싶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까지 할 수는 없다면, 그런 생각이나마 해 볼 수 있는 단초라도 보여줘야 하지 않을까 싶었습니다.(아울러, 역사를 되짚어보면 거제 일대에는 여러 산성과 임진왜란 또는 일제강점기 전쟁 관련 유적이 많은데요, 왜 이렇게 됐는지도 얘기해 주면 더욱 좋겠지요.) 

 

 

그렇지만 저는 그에 걸맞은 어떤 장치랄까 시설이랄까 설명이랄까를 보지 못한 것 같습니다. 오히려 어떤 면에서는 북한에 대해 적개심을 돋우는, 말하자면 전쟁에나 걸맞을 뿐 반전이나 더 나아가 평화와는 어울리지 않는 그런 부분이 돋보이기까지 했습니다.

 

4. 포로수용소가 거제도에 끼친 영향은?

 

하나 더 짚는다면 이 포로수용소가 거제에 어떤 영향을 얼마나 끼쳤는지 하는 부분이 충분하게 보여지고 있지 않다는 사실입니다. 거제도 포로수용소 그 자체와 포로수용소 안과 밖에서 포로수용소를 둘러싸고 벌어진 일들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었습니다.(전개는 무척 다이나믹했습니다.) 

 

 

포로수용소를 짓는 데는 무엇보다 먼저 땅이 필요했을 테고 그 땅에는 이미 거제 사람들이 사는 집과 농사지어 먹는 논·밭이 있었을 것입니다. 나라에서는 그런 집과 논·밭을 강제 수용하면서 사람들을 밖으로 내몰았을 텐데요, 그러면 그런 사람들은 어디로 가서 무엇을 하면서 살았을까 싶습니다.

 

또 거제도 바깥으로는 바다로 배를 타고 나가도록 돼 있었고 이를 위해 포로수용소 전용 항구도 따로 있었지요. 그러면 그런 바닷가에 살던 사람들도 다른 데로 옮겨가지 않을 수 없었을 것입니다. 그이들은 어디로 가서 어떻게 살았을까요? 포로수용소 없어지고 나서는 또 어떻게 했을까요?

 

 

어쨌거나 '최대 17만3000명 포로'를 수용했다니까, 그렇게 엄청나게 포로가 들어오면서 거제가 겪어야 했던 희로애락과 변화·발전·퇴보 등등이 있었을 것 같은데, 그에 대해서는 전혀 다루지 않고 있는 것 같았습니다. 

 

포로수용소를 짓는 데 들어간 물자와 인력이 어느 정도였고 어디서 어떻게 조달했을까요? 그리고 그런 일에 거제 사람들은 어떤 방법으로 얼마나 동원이 됐는지도 저는 궁금합니다.(바로 옆에 전통시대 고현읍성이 있는데, 이 또한 포로수용소 지으면서 많이 허물어지지 않았을까 모르겠습니다.)

 

이렇게 규모가 엄청난 포로수용소를 유지 관리하는 데 거제 사람들은 어떤 쓰임을 받았을까요? 포로들과 미군들이 먹고 입고 쓰고 했던 물자들 가운데 거제 사람들이 생산하거나 유통했던 것들은 또 얼마나 될까요? 포로수용소 미군들한테 채용된 거제 사람(요즘 말로 군무원)은 없었을까요?

 

또 포로들과 거제 사람의 접촉은 없었을까요? 미군들이 거제 지역사회와 만나지면서 만들어낸 새로운 풍경들은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포로들한테 면회 오는 사람들과 만날 권리는 보장이 됐을 성 싶은데 그 관련 이야기나 풍경도 한 장면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경비대장 숙소 들머리. 서양풍입니다. 그리고 대장 격에 어울리게 천장쪽을 둥글게 장식 처리했습니다.

 

거제도 포로수용소 유적공원, 이 유적공원에 전쟁을 넘어서는 이를테면 평화를 향해 나아가는 어떤 메시지 같은 것이 좀더 뚜렷하면 좋지 않을까, 포로수용소가 거제 지역에 미친 영향의 실상(좋든 나쁘든)이 담겨 있으면 더 좋지 않을까, 이런 생각이 들었던 것입니다.

 

지금처럼 그냥 놀이터 비슷하게 돼 있는 데에 그런 것들이 더해지면 여기를 찾는 사람들이 조금이라도 더 보람있어 할 것 같았습니다. 그렇게 하면 그냥 와서 웃으며 여기저기 돌아다 보다가 사진 몇 장 찍고 돌아가는 지금보다 재미도 더 있을 것 같았습니다.

 

미군 어떤 장병 순직기림비.

 

5. 입장료 등이 너무 비싸다 싶은데

 

마지막으로 하나 더 짚자면, 관련 비용이 좀 많이 비싸다 싶었던 것도 있습니다. 유지 관리 그리고 알맞은 이윤을 위해서는 그만큼 비싸게 받아야 한다 해도 말입니다.

 

입장료가 이렇습니다. 어른:개인 7000원 단체 5000원, 청소년·군인:개인 5000원 단체 3500원, 어린이:개인 3000원 단체 2000원, 노인(만 65살 이상):개인·단체 불문 3000원.

 

4인 가족이 왔다고 치면 어른 2명 1만4000원, 청소년 5000원, 어린이 3000원 해서 입장료만 2만 2000원이 됩니다. 그것으로 모두 끝나는 것도 아닙니다. 더 내야 할 다른 요금도 있습니다.

 

 


주차요금도 별도로 따로 받습니다. 포로수용소 유적공원 안에도 별도로 요금을 더 받는 프로그램에 여러 있었습니다.

 

사격체험장:2000원, 거울 미로&착시미술:개인 3000원 단체 2000원, 아바타포:개인 9000원단체 7000원. 단체는 30명 이상입니다. 이런 요금 다른 데서는 정말 보기 어렵습니다.

 

김훤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