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에서 본 세상

"노후원전 폐쇄하라" 경남지역 교수 선언

기록하는 사람 2015. 3. 5. 15:14
반응형

반가운 메일이 왔습니다. 경남지역 대학 교수들이 월성원전 1호기와 고리원전 1호기의 폐쇄를 촉구하는 보도자료인데요. 3월 11일 후쿠시마 원전사고 4주기를 맞아 발표한 선언문입니다.


인제대 교수들이 제일 많네요. 제 모교인 국립 경상대 교수들은 의외로 적군요. 역시 국립인 부산대도 그렇고요. 왜 그럴까요? 어쨌든 이 선언이 계기가 되어 우리 지역, 우리 사회에 탈핵 분위기가 확산되길 빌어봅니다.


제가 과문해선지는 모르지만, 우리 지역 대학교수들이 노후원전 폐쇄를 주장하는 선언문을 낸 것은 이게 처음이지 싶은데요. 기록으로 남겨야할 선언문이라 여기 전문과 참여 교수 명단을 올려둡니다.


마침 김해창 교수 등이 번역한 《안전 신화의 붕괴》-후쿠시마 원전사고는 왜 일어났나-라는 책도 오늘 도착했군요. 책 고맙게 잘 읽겠습니다.


《안전 신화의 붕괴》-후쿠시마 원전사고는 왜 일어났나


보도자료

후쿠시마원전사고 4주기 즈음한 교수선언


오는 3월11일은 후쿠시마원전사고 4주기가 되는 날입니다.

사고 4년을 맞이하고 있지만 일본은 여전히 사고원전으로부터 흘러나오는 방사능오염수를 관리하지 못하여 인근바다에 무단방류하는 식을 처리하고 있다고 합니다.

끔찍한 상황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런데 최근 우리나라는 원전사고의 전초전이 아닌지 우려할 일이 발생했습니다. 국민 ㅜ대다수가 반대하는 수명이 다해 가동 중단된 월성원전 1호기를 중단 3년이 지난 지금 재가동을 결정한 것입니다. 

그것도 모든 국민이 잠든 시각인 새벽 한시에 말입니다.


국민의 생명에 직결된 안전문제를 이처럼 결정하는 것은 도무지 용납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지난 2007년 수명을 다하고 연장가동 결정된 고리1호기가 오는 2018년이면 연장기한이 끝나는 상황으로 노후 원전으로 인한 국민들의 불안요소는 더욱 커져만 가고 있습니다.


후쿠시만원전사고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절대 후쿠시마원전 사고와 같은 유사사고가 발생해서는 안 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수명을 다하고도 연장가동을 시도하고 있는 월성1호기와 고리1호기는 하루라도 빨리 폐쇄시켜야 합니다. 


이러한 취지에서 교수선언을 추진하게 되었습니다.


2015. 3. 5

수명 다한 월성1호기 고리1호기 폐쇄 교수 선언 참여자(82명) 일동

(문의 경남대 배대화교수 010-9336-9117, 인제대 박재현교수 010-8572-8364 경상대 조우영교수 010-9400-9785)

    

후쿠시마원전 사고 4주기 즈음한 교수선언

국민안전이 우선이다.

수명 다한 노후 원전 월성원전1호기, 고리원전1호기의 폐쇄를 촉구한다.


최근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수명 다한 월성원전 1호기를 폐쇄하라는 국민의 여론을 무시하고 국민들이 다 잠든 시각, 2월 27일 새벽 1시에 월성원전 1호기 재가동을 기습적으로 결정하였다.   


하지만 지역주민은 물론 국민들은 월성원전 1호기 재가동 결정을 받아들이지 않고 재가동 결정 무효를 외치며 전국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다.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계기로 국민들은 더 이상 핵발전소의 안전성을 믿지 않고 있으며 설사 사고가 나지 않더라도 핵발전소 주변 주민들은 암으로 고통 받으며 불안감에 싸여 살아가고 있다. 여러 대학의 교수들은 이러한 정부의 안전 경시 정책을 좌시하지 않을 것이며 수명 다한 핵발전소의 폐쇄를 선언할 때까지 탈핵을 염원하는 국민들과 함께 노후 원전 폐쇄운동에 동참할 것을 밝힌다.    


월성원전 1호기는 이번 원자력안전위원회 수명연장을 위한  심의과정에서 드러났듯이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월성1호기와 쌍둥이 핵발전소인 캐나다 젠틸리2호기는 안전기준 강화로 수리비용이 4조원에 달해 아예 폐쇄하기로 결정하였지만 월성1호기는 5,600억 원의 수리비용으로 안전성이 확보되었다고 수명을 연장하는 것은 안전에 대한 정부의 인식이 얼마나 허술한 지 잘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최신안전기준'(R-7)을 무시한 채 안전하다고 하는 원안위 결정을 신뢰할 수 없다. 월성1호기는 캐나다형 중수로 원전이기 때문에 1991년 캐나다에서 만든 '캔두형 원전의 격납건물계통에 대한 요건'을 적용하여 안전성 검토를 해야 함에도 ‘돈이 많이 든다, 설비를 해도 안전에 별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또 ‘1991년 이전의 원전이기 때문에 소급적용할 필요가 없다’는 식으로 답변을 하였지만 같은 형태인 월성 2 ,3, 4호기에는 설비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30년 전에 건설되어 수명을 다한 월성1호기는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강화된 국제안전기준을 갖추지 못한 노후 원전이므로 재가동이 아니라 당장 폐쇄해야 한다.


셋째,  지진 대비책에 대한 논의가 충분하지 못했다. 민간 측에서 주장한 62개 활성단층에 대한 검토가 안전성 보고서에 빠져 있었고 원안위 회의에서 토의조차 제대로 되지 못했다.


넷째, 원자력안전위원은 5천만 국민의 안전을 책임지는 중요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공정성이 담보되어야 한다. 일부 위원은 원자력사업자인 한수원의 신규원전부지선정위원으로 활동하여 활동비까지 받은 경력이 있어 원안위원 자격이 없는 것이 확인되었지만 원안위는 묵살하고 표결에 참여시켰다.


다섯째, 국민의 안전에 관한 중요한 사항을 충분한 토론 없이 새벽에 기습적으로 표결로 처리한 것은 무효다. 33년전 기준이 적용된 월성 1호기의 안전성 평가를 제대로 하지 않고 국제기준에도 미달된 상태로 수명연장 허가를 내 준 것이다. 따라서 국회차원의 월성 1호기 수명연장 허가에 대한 검증을 요구한다.


월성1호기와 고리1호기는 전체 전력생산의 1.5%를 생산할 뿐이다. 후쿠시마원전사고 4년이 지난 지금 일본은 여전히 후쿠시마원전으로 부터 흘러나오는 방사능오염수를 관리하지 못하고 바다로 무단 방류시키고 있다. 끔찍하게도 방사능오염이 일본을 넘어 전지구로 확산되고 있다. 이렇듯 핵발전소 사고는 한 지역 한 나라에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라 전지구적 인류생존에 직결된 문제임을 각인하고 수명 다한 핵발전소는 즉각 폐쇄하고 핵발전소 확대정책을 즉각 폐기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


2015. 3. 5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박현건 [경남대학교] 감정기 강인순 고재홍 권종일 김남석 김영주 김재현 김종덕 김태식 김학범 김학수 김형태 배대화 신동순 안차수 유장근 이선미 이수훈 이은진 이찬원 정상윤 정성기 지주형 최유진 [경상대학교] 곽상진 김의동 김장락 이심성 장상환 정진상 조우영 [동서대학교] 정인태 [부산대학교] 이병인 최송현 홍석환 [연암공업대학] 박상규 [인제대학교] 강미숙 강우원 강재규 고영남 김동규 김미현 김보경 김세연 김주현 김진홍 나낙균 박섭 박소희 박수진 박은정 박재현 박정란 박지현 백지원 양승호 엄국현 이선우 이성범 이진애 이찬훈 이홍섭 전진우 정의태 조경제 채두병 하상필 한기욱 한용재 홍재우 황국명 [창원대학교] 김민정 남재우 문경희 서정근 신동규 심상완 이성철 정연식 조효래 황석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