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에서 본 한국현대사

민간인학살 64년, 위령제는 7차인 까닭

기록하는 사람 2014. 7. 6. 11:13
반응형

2014년 제64주기 제7차 창원지역 합동위령제와 추모식이 7월 5일 오후 1시부터 창원시 마산합포구 오동동 천주교 마산교구청 1층 강당에서 열렸다.


1950년 한국전쟁 전후 창원지역 민간인학살 희생자는 2300여 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하지만 진실화해위원회는 717명 정도로 확인했고, 그 중에서도 신원이 밝혀진 사람은 358명이었다.


2014년 제7차 위령제.


그 분들이 학살된 지는 64년이 지났는데, 위령제는 왜 7차일까? 이날 정동화 부회장이 읽은 경과보고는 이렇게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2009년 2월 18일 마산형무소 재소자 희생사건의 희생자 63명의 진실규명 결정 후 동년 4월 25일 오후 1시 경남도민일보 강당에서 김주완 부장의 주선으로 김도곤, 황양순, 노치수, 송시섭, 송수섭, 권영철, 배기현, 김재환, 김정임, 박군자, 나석기 등 14명이 모여 마산유족회 준비위원회 결성.


2009년 6월 20일 경남도민일보 3층 강당에서 유족 100여 명이 모인 가운데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피학살 마산유족회 창립총회 개최.


2009년 10월 16일 제59주기 제2차 마산지역 민간인학살 희생자 합동위령제 및 추모식을 마산공설운동장 내 올림픽기념관에서 봉행."


물론 2009년 이전에도 진상규명 운동은 있었다. 1999년 10월 경남도민일보의 곡안리 학살, 보도연맹원 학살에 대한 발굴보도에 이어 2001년 경남에서는 처음으로 유족들의 공개적인 증언대회가 열렸다. 그날의 행사가 진실규명과 유족회 결성으로 이어졌던 것이다.  


2001년 처음으로 열렸던 경남지역 민간인학살 유족 증언대회. 지금은 유족회장이 된 노치수 회장이 증언 중인 가운데 유족회 부회장이 된 정동화 전 창원시의원이 증언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그러면 왜 2009년의 합동위령제가 제2차였을까? 그건 4.19혁명 직후인 1960년 7월 27일 마산역 광장에서 제1회 합동위령제가 열렸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1961년 5.16쿠데타로 유족회 간부들이 모두 구속되어 용공혐의로 감옥살이를 하게 됐고, 진상규명 요구는 철저히 묵살되었다.


그로부터 다시 45년이 지나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 기본법이 시행되고 진실화해위원회가 출범함에 따라 부분적이나마 학살의 진상이 밝혀지게 되었던 것이다.


1960년 1차 위령제가 2009년에야 2차 위령제로 이어질 수 있었던 것도 이런 배경 때문이다. 결국 박정희 쿠데타정권 때문이었던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