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에서 본 언론

촛불 가수 ‘지니’가 알려준 보람과 깨우침

김훤주 2009. 1. 9. 11:29
반응형

그이를 다시 만날 일이 있으리라고는 생각지 못했습니다. 2008년 7월 5일 창원 촛불집회에서 그이의 노래를 처음 들었습니다. ‘행진’이었습니다. 가사 전체를 알지는 못하지만, 높은 소리로 “행진!” “행진” 할 때는 가슴 깊숙한 데까지 다 시원해지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그런 그이를 여섯 달만인 2008년 12월 29일 마산 창동 촛불 집회에서 다시 볼 수 있었습니다. 이번에도 그이는 어김없이 ‘행진’을 불렀습니다. 두 번째 듣는 노래여서 그런지 7월 여름과 같은 시원함은 없었습니다. 그이는 예명이 ‘지니’였습니다.

저는 생각을 해 봤습니다. ‘지니’는 10년 동안 지역에서 가수로 활동해 왔다고 했습니다. 그러니까 같은 기간 이를테면 라이브 카페 같은 데서 이날 거리에서 부른 ‘행진’이라든지 ‘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워’ 따위를 불렀을 것입니다.(마흔 남짓 세월을 살면서 저는 라이브 카페라는 데를 가 본 적이 단 한 번도 없습니다만.)

사실 저는 잘 몰랐습니다만, 노래는 어떤 공간에서 부르느냐에 따라 그 의미와 힘이 다르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지니’라는 같은 사람이 ‘행진’이라는 같은 노래를 불러도, 거리에서 부르느냐 아니면 라이브 카페에서 부르느냐에 따라 노래가 달라진다는 말씀입니다.

라이브 카페에서 부르는 ‘행진’이랑 거리에서 부르는 ‘행진’이 같다고 한다면, 그것은 부르는 이와 듣는 이 모두에게 모욕이 될 것입니다. 물론 이는 어느 ‘행진’ 어떤 ‘지니’가 더 좋다거나 하는, 부당한 가치 개입 없이 드리는 말씀입니다.

김주완 선배 사진. ^.^

8월 즈음 신문에 ‘지니’를 인터뷰한 기사가 난 적이 있습니다. 그이가 7월 거리에서 노래 부를 때 한 얘기가 그대로 실려 있었습니다. “사회 정치 문제는 전혀 관심이 없었다. 민주노총 집회에서 노래를 부른 적도 있지만 그 때는 무슨 내용인지 아무 관심도 없었다.”

“그저 돈을 벌려고 갔다. 돈 안 받고 노래 부르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6월 10일 6.10항쟁 20주년 기념 촛불대행진을 했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레 87년 6월항쟁이라든지 60년 마산 3.15의거 등도 알게 됐다. 이런 기분 난생 처음이다.”

저는 ‘지니’의 이런 발언을 전부 진실이라 믿습니다. 80년대 초반, 처참한 사진을 통해 광주항쟁의 실상을 보면서 비슷한 깨달음과 떨림을 체험한 세대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저는, 12월 29일 노래를 부르면서 했던 ‘지니’ 발언의 진정성도 그대로 믿습니다.

“여러분! 날씨가 이렇게 추워도, 이렇게 거리에서 같은 뜻으로 함께 모이고 외칠 수 있는 동지, 친구가 있는 여러분은 정말 축복받은 사람입니다. 이런 좋은 자리에 불러주셔서 영광입니다. 새해에는 더 나아질 것입니다!”

‘동지’ ‘친구’, 이런 말이 귀에 콱콱 박혀 왔습니다. 저 ‘지니’가 ‘동지’라는 낱말을 입에 올린 적은 그이 평생에서 올해 말고는 없었을 것입니다. 그리고 춥고 배고픈 자리에 자기가 함께한다는 데에 ‘영광’이라 생각하는 것도, 그이에게는 아마 전무후무한 일일 것입니다.

2008년 촛불은 광우병 위험 미국 쇠고기 수입 반대로 시작돼, 정부와 한나라당의 언론악법 추진 반대로 마무리됐습니다. 지금 한나라당이 입법 강제 추진을 잠시 멈춰 이를테면 예봉은 꺾은 셈이 됐습니다. 그러나 이를 두고 결과가 끝까지 좋으리라 낙관한다면 ‘이상한 녀석’이라는 소리를 듣고도 남을 것입니다. 악법을 추진하는 세력이 지나치게 세기 때문입니다.

마치, 90년대 생산 현장에서 많이 부른 이런 노래 한 구절, “너희는 조금씩 갉아 먹지만 우리는 한꺼번에 되찾으리라.”를 뒤집어놓은 국면 같습니다. 그러니까, “너희는 한꺼번에 집어 삼키지만 우리는 조금씩 되찾으리라.” 절망스럽습니다.

그러나 저는 촛불로 상징되는 행동 속에 ‘지니’와 같은 사람이 ‘지니’ 말고도 여럿이 들어 있으리라는 짐작만으로도, 우리가 지난 한 해 보낸 보람으로는 충분하다고 봅니다. 언론노조 파업이 되살린 ‘촛불’에서, ‘지니’가 “여러분은 축복받은 사람이고, 마찬가지 초청받은 저도 영광이다.”고 말하는 이상 말입니다.

‘지니’는 ‘촛불’ 현장을 스스로 찾아 노래를 부르겠다고 나선 사람입니다. 저는 여기서, ‘촛불’이 지닌, 작으면서도 능동적인 이미지를 봅니다. ‘지금’ ‘여기’를 살아가는 동시대인의 인식과 행동의 지평이 이렇게 넓어지고 있습니다. 이런 역사적 사실을 상징하는 인물이 바로 ‘지니’입니다.

갑자기, 70년대 중반 발표된 황석영 소설 ‘객지’의 마지막이 떠오릅니다. 아시겠지만, ‘객지’의 주인공은 깜깜한 노가다 현장에서 쟁의를 벌였으나 혼자 고립이 되고 맙니다.

2000년대의 끄트머리에서 30년도 더 된 소설의 결말을 떠올리는 자체가 ‘퇴행’일 수도 있지만, 그래도 멋지지 않습니까? 고립돼 있던 독산에서 걸어내려오며 내뱉은 한 마디, “꼭 내일이 아니라도 좋다.”

이 말이 뜻하는 바는 바로 이렇습니다.(적어도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어떤 사람이 시대를 가르는 중요한 한 국면을 통과하면 새로운 인식과 자세를 갖게 될 수밖에 없지. 따라서 지금 바로 당장은 아니지만, 앞날은 그만큼 좋아지지 않으면 오히려 이상하잖아?”

저는 지금 ‘지니’를 생각하면 그냥 행복해집니다. 지역에 이런 라이브 가수가 있다는 사실을 제가 알게 됐다는 자체만으로도 마음이 넉넉해집니다. 거리에서 울려퍼지는 우리 ‘지니’의 노래 ‘행진’이나 ‘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워’가 저를 이렇게 만들었습니다.

여유가 생기고 낙관이 자랍니다. <꼭 내일이 아니어도 좋습니다.> 촛불 현장에서 ‘지니’의 노래를 듣는 보람도 작지 않지만, ‘지니’가 출연하는 라이브 카페에서 ‘지니’의 노래를 듣는 그런 색다른 분위기도 한 번 즐겨봄짐하겠다는  ‘뜬금없음’마저 슬그머니 마음에 스며들 정도랍니다.

김훤주
※매체 비평 전문 인터넷 매체 ‘미디어스’에 1월 5일 실었던 글을 바뀐 상황에 맞춰 조금 다듬었습니다.

그래도 나는 고발한다
카테고리 시/에세이
지은이 이상호 (문예당, 2002년)
상세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