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남도민일보는 제법 오래 전부터 새로운 '부음' 기사를 내보내고 있습니다. 대개 우리나라 신문의 부음기사가 '출세한 상주'를 앞세운 형식인데 반해 경남도민일보의 부음은 고인을 앞세우는 방식입니다. 오늘 서울에서 발행되는 한 신문의 부음입니다. 돌아가신 분은 아예 이름도 나오지 않습니다.
그리고 또 하나의 특징은 단순한 공지형이 아닌 서술형으로 쓰고 있다는 것입니다. 고인이 생전에 살아온 삶을 짧게나마 담고, 자손이 보는 고인에 대한 생각도 담으려 합니다.
물론 아주 유명인사가 사망했을 때는 저희처럼 그 사람의 생애를 조명한 기사를 내보내는 경우도 있지만, 저희처럼 평범한 분의 부음에서는 사회적으로 어느 정도 명망이 있는 상주의 이름을 내세우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심지어 고인에 대해서는 '모친상' '부친상'이라는 단어 속에 흡수해 이름조차 내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런데, 한겨레는 언제부터인가 부음의 형식을 좀 달리하고 있더군요. 거기도 저희처럼 기사 형식은 아니지만 일단 고인의 이름을 앞에 내세우고 있습니다.
위의 부음은 '궂긴소식'란에 실린 한겨레의 그것입니다. 고인의 이름을 먼저 명기한 후, 상주의 이름과 직책, 빈소, 발인 일시 등을 전하고 있습니다.
저희는 여기서 더 나아가 가급적 고인을 중심에 두고 기사를 작성하려 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어제 제가 작성해 오늘자 신문에 게재한 부음기사입니다.
물론 저희 신문이 이런 시도를 하고 있는 것은 지역신문이기 때문에 가능한 점도 있을 겁니다. '하이퍼로컬'의 개념을 부음기사에도 도입해보자는 취지죠.
그런데, 이렇게 부음기사를 작성하려니 어려운 점도 많습니다. 우선 슬픔에 빠져 있는 유족에게 전화를 하여 고인에 대해 이것저것 캐묻는 게 쉽지 않습니다. 또 이런 형식의 부음기사가 익숙해 있지 않다보니 그런 걸 물어보면 의아해 하는 유족들도 많습니다. 이상한 의심도 합니다.
그러다 보니 모든 부음기사를 이렇게 내보내진 못하고 있습니다. 그런 방식의 취재에 동의해주지 않는 유족의 경우, 그냥 공지형 부음으로 내보내기도 합니다. 다행히 오늘도 부고가 하나 들어왔는데, 후배기자가 전화를 하여 이런 방식의 짧은 부음기사를 작성할 수 있었습니다. 이 부음은 내일자에 나갑니다.
창원시 동읍 덕산 이덕순 씨 별세(김원식 씨 부인상, 김봉춘 대한사이클연맹 시설이사 모친상) = 창원시 동읍 덕산 이덕순 씨가 6일 오후 2시 40분경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74세. 유족으로는 남편 김원식(75·농업) 씨, 아들 봉춘(대한사이클연맹 시설이사·정도엔지니어링 대표), 형철(자영업), 동윤(자영업) 씨, 딸 정숙(자영업), 영희(포항지곡초등학교 교사) 씨가 있다.
장남인 김봉춘 씨는 고인에 대해 "평소 성품이 온화하시어 자식에게 큰 소리를 한 번 내시질 않으셨다"고 회고했다.
빈소는 김해 진영 하늘재 장례예식장에 마련됐으며 발인은 8일 오전 수시, 장지는 김해 추모공원이다.
연락처 : 010-9695-9001(김봉춘)
장남인 김봉춘 씨는 고인에 대해 "평소 성품이 온화하시어 자식에게 큰 소리를 한 번 내시질 않으셨다"고 회고했다.
빈소는 김해 진영 하늘재 장례예식장에 마련됐으며 발인은 8일 오전 수시, 장지는 김해 추모공원이다.
연락처 : 010-9695-9001(김봉춘)
어떤가요? 고인의 삶을 짦게나마 조명하는 이런 방식의 부음이 상주 이름만 내세운 공지형 부음보단 훨씬 낫지 않나요? 이런 형식의 부음이 널리 알려져서 저희들이 전화를 했을 때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고 답해주는 유족들이 많아졌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지역에서 본 언론 > 뉴미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유료화' 말고도 신문사 살길 있다 (8) | 2009.08.27 |
---|---|
휴대폰과 블로그의 결합시대 오는가? (13) | 2009.08.25 |
신문의 의제설정력, 블로그에 빼앗기나 (8) | 2009.08.06 |
직장인 김욱, 그가 시사블로거로 나선 까닭 (22) | 2009.07.29 |
블로그로 지역언로(言路) 여는 사람들 (4) | 2009.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