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런 저런 생각-김훤주 182

마흔 넘어 ‘첫 경험’ 쉰 다 돼 ‘또 경험’

제가 2005년 쓴 글 가운데 ‘마흔이 넘어서 하는 첫 경험’이 있습니다. 그 때는 대체로들 갓 마흔이었는데 이제는 중반을 넘어 후반으로 가고 있습니다. 그래. 어쨌거나, 그 글은 이렇게 시작합니다. 제가 일하는 에는 또래 되는 선배가 여럿 있습니다. 제가 63년생인데 선배들이 저보다 한두 살 많거나 같은 셈입니다. 이런 선배들이 올 들어 치른 ‘첫 경험’들이 은근히 얘깃거리가 되고 있습니다. 동갑인 한 선배가 지난 2월인가 고향 남해에 가려고 버스를 탔답니다. 신문사가 있는 마산에서 바로 가는 버스를 놓치는 바람에 일단 진주로 가 남해행 버스를 기다렸습니다. 마산서 진주 가는 버스는 5분이나 10분마다 있지만 남해 가는 버스는 그렇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 진주는 서부 경남의 중심지 구실을 하고 있기 때..

알퐁스 도데 '마지막 수업'이 아름답다고?

‘재일 조선인’ 서경식의 글은 언제나 저를 불편하고 아프게 합니다. 제가 제대로 앉아 있고 서 있고 생각하고 있는지 끊임없이 돌아보게 만들어 불편합니다. 그리고 제가 느끼지 못하는 고통을 일깨워 주기에 많이 아픕니다. 그이가 펴낸 책 ‘고통과 기억의 연대는 가능한가?’ 76쪽도 마찬가지 저를 아프고 불편하게 만들었습니다. 알퐁스 도데가 쓴 소설, 아름답게 기억되는 소설, ‘마지막 수업’(La derniere classe)이, 실은 지배를 미화하고 있다는 얘기입니다. 옮겨 와 보겠습니다. 단락 구분은 제가 임의로 좀 했습니다. “여기(한국) 교과서에도 나오지요? 어떻게 가르쳐요? 어떤 교훈입니까? 그거 배우면서 동시에 같이 연상되는 게 일제시대에 우리 말을 빼앗겼던 일과 우리 말에 대한 소중함이죠. 일본에..

아들을 보고 배웠습니다

아들이 있습니다. 이번에 고등학교를 졸업했습니다. 아들은 그림을 그립니다. 그림을 그리는 대학 학과로 진학하려 했습니다. 아쉽게도 떨어지고 말았습니다. 떨어졌음이 확인되던 날, 저도 사람인지라 맥이 풀리고 힘이 없어지더군요. 실망스럽기도 하고 좀 멍해지기도 했습니다. 아들 녀석은 어떨까, 생각도 됐습니다. ‘힘내자’, ‘일단 좀 쉬어’ 뭐 이런 격려 문자를 보냈지 싶습니다. 이제 한 스무 날쯤 지났네요. 조금 추슬러졌습니다. 저도 그렇고 아들도 그렇습니다. 사실 저는, 아들을 두고 못 미더워하거나 안타까워하거나 걱정하지는 않습니다. 누가 시킨 일이 아니라,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아들이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아들 생각은 이렇습니다. 그림을 그리며 살고 싶다. 한 달에 60만원만 벌어도 된다. 결혼은 하..

중3 되는 딸과 고3 졸업한 아들

1. 어제 이런 일이 있었습니다. 처가 쪽 결혼식이 있어서 전주에 다녀왔습니다. 여러 어르신 만나고 새 신랑 축하도 했습니다. 아침 7시 나서서 시외버스를 타고 오갔는데 모르는 길이라 그런지 생각보다 피곤하더군요. 그래도 집에 있는 아이들 생각에 저녁 6시 마산 시외버스 터미널에 닿자마자 올해 중3 올라가는 딸에게 문자를 보냈습니다. “오늘 저녁 돼지고기 어때?” 이렇게 말입니다. 집에서 돼지 삼겹살 구워먹을까? 묻는 얘기입니다. 우리 식구는 집에서 돼지고기 구워먹기를 오래 전부터 즐겼습니다. 다달이 두 차례 정도? 제가 주로 굽습니다. 아내랑 아이들은 두께가 3cm쯤 되는 자연석으로 구워 놓은 고기를 먹습니다. 물론 지금 아내는, 몸이 아파 꼼짝 못하기 때문에 먹지를 못합니다만. 우리 식구 넷은 그러면..

지금 꽃 ‘산업’이 과연 정상일까

2월 11일 고3 아들 졸업식이 있었습니다. 낮 11시에 시작했는데 12시 남짓해서 끝났습니다. 저는 원래 ‘목이 잘린’ 꽃은 좋아하지 않기 때문에 처음에는 꽃다발을 사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같이 간 우리 딸 현지가 “아빠 꽃 하나 사요.” 하는 바람에-솔직히 말하자면 12년 공부를 마친 아들에게 꽃다발은 하나 안겨야겠다 싶어서 도로 밖으로 나와 작은 꽃다발을 장만했습니다. 이 날 우리 아들 현석은 꽃다발을 두 개 받았습니다. 아들 엄마는 3년 째 와병 중이라 나오지 못했지만, 현석의 예쁜 여자친구가 꽃다발을 들고 축하하러 왔더랬습니다. 받은 꽃다발을 들고 집으로 돌아왔습니다. 목이 잘렸다고는 하지만 다발로 묶인 꽃들이 죄 죽었다고 하기는 어려워서 차마 버리지 못하고 주둥이 넓은 병에 물을 담아 꽂았습니..

뜯겨나간 민들레와 ‘민들레 친구들’

‘어린 왕자’는 나중에 자기가 떠나왔던 소행성 B612호로 돌아갑니다. 알려진대로 뱀에게서 독을 빌려서 그리합니다. 거추장스러운 몸은 남기고서 말입니다. 이런 얘기를 생뚱맞게 왜 하느냐 하면, 상상력이 아주 중요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어서지요. 어린 왕자가 비행사 아저씨한테 말합니다. “누구에게나 별은 있지요. 하지만 다 똑같은 별은 아녜요. 여행을 하는 사람에겐 별은 길잡이예요. 어떤 사람들에겐 작은 빛에 지나지 않고요. 학자에게 별은 문젯거리겠지요. 내가 만난 상인한텐 별이 돈이고요. 그러나 별은 말이 없어요. 아저씨는 그런 사람들하고 다른 별을 갖게 될 거예요…….” 돌아갈 즈음해서 하는 말입니다. “아저씨가 밤에 하늘을 바라보게 되면, 내가 그 별들 중의 한 별에서 살고 있고, 그 별들 중의 한 ..

설날에 할아버지 뺨 때린 사연

1970년에 저는 ‘국민’학교 1학년이었습니다. 제가 말씀드리려는 사건은 1970년 또는 71년에 일어났습니다. 물론 장본인인 제 친구로부터 이 얘기를 들은 때는 한 3년 뒤입니다. 제 기억으로는, 1968년 겨울 풀빵(국화빵이라고나 할까요? 지름 2cm에 두께 1cm정도 되는, 밀가루 반죽을 틀에 부어 익혀 만드는 조그만 빵)이 하나에 1원 했습니다. 화폐 가치로 치면 그 때보다 지금이 한 스물다섯 배 정도 올라갔답니다.(제 실감으로는 그보다 더하지 싶습니다만) 당시 풀빵을 지금 사려면 30원쯤 한다는 얘기겠지요. 설날 할아버지한테 세배를 올렸습니다. 그런데 할아버지께서 주신 세뱃돈이 고작 5원이었습니다. 지금 간부 공무원이 돼 있는 이 친구는 화가 났습니다. 국민학교에 입학해 이제 학생도 됐는데, 이..

경남 창녕 지명으로 전북 전주를 지킨 통일신라

며칠 전 책장을 뒤적거리다 재미있는 얘기를 찾아냈습니다. 1340년 전인 서기 670년대에, 전라북도 전주를 삼키려는 당나라의 야욕을 통일신라가 경상남도 창녕의 땅 이름을 활용해 물리쳤다는 얘기입니다. 이런 내용이 적혀 있는 책은 이름이 ‘淘婢堂 遺稿’(도비당 유고)입니다. 전북 지역에서 법관을 하시다 변호사로 일생을 마치신 황면주(黃冕周 1920~76)라는 어른께서 쓰신 글입니다. 도비당은 그 어른의 당호(堂號)이고요. ‘도비당 유고’는 1991년 발간됐는데, 어른의 아드님께서 아버지 생전에 남기신 글들을 모은 책입니다. 저는 이 책을 90년대 중반 전주 처이모 댁에 갔다가 얻었습니다. 제게는 그러니까 처가 쪽으로 친척 어른이 되십니다. ‘도비당 유고’ 20쪽에는 ‘全州의 古號考(전주의 고호고)’가 실..

시집(詩集)에 어린 학살의 그림자

저랑 같이 팀블로그를 하고 있는 김주완 선배는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과 ‘일본군 위안부’ 전문기자라 할만합니다. 최근에 올린 관련 글만 해도 목록이 이렇습니다. “아버지, 이제야 60년 한을 풀었습니다”, 학살 유족 “지리산을 동해에 던지고 싶었다”, 한국군 민간인 학살, 60년만에 진실규명 결정, 이스라엘군 민간인 학살, 한국군 학살은? 이런 글을 보다 보니, 아무 생각 없이 집에서 시집(詩集)을 하나 꺼내 읽어도 학살과 관련되는 작품들에 눈길이 한 번 더 가곤 합니다. 참 꿀꿀한 노릇입니다. 올해 들어 그냥 손에 잡히는 대로 집어든, 오하룡 시인의 시집 에서도 그런 시를 몇 편 만날 수 있었습니다. 누구나 쉽게 읽고 뜻도 잘 알 수 있는 작품들입니다. 먼저 ‘곰절 골짜기’입니다. 곰절은, 창원..

‘과속스캔들’은 실패한 ‘코믹’ 영화다

‘과속스캔들’은, 으로는 실패한 영화입니다. 적어도 저희 부녀에게는 말입니다. 저희 부녀는, 이 웃기려고 만든 영화를 보면서 눈물을 흘렸습니다. 그렇다고 저희 부녀가 이 영화를 좋지 않게 본다는 뜻은, 전혀 아닙니다. 물론, 이번에 중3 되는 우리 딸은 이 영화를 보면서 아주 여러 차례 웃었을 것입니다. 물론 저도 한 차례 웃기는 했습니다. 영화 막바지에서, 할아버지 남현수(차태현)가, 딸 황정남으로 하여금 아이(황기동, 그러니까 손자)를 낳게 한 남자를 마구 때리는 장면입니다. 이 대목에서, 제가 쓰는 글을 보고 있던 우리 딸 현지가, “아냐. 우스운 장면에서 여러 번 아빠를 돌아봤는데, 안 웃고 있을 때도 많았지만 웃고 있을 때도 있었어요.” 이럽니다. 현지는 이어서 “아빠, 코믹 영화 맞아. 난 많..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