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에서 본 언론

평일 종이신문 발행을 줄이면 어떨까?

기록하는 사람 2012. 2. 25. 16:28
반응형
강석(텍사스주립대) 교수가 <신문과 방송> 2012년 2월호에 쓴 글을 읽었다. '미국 신문사들의 생존전략-평일 온라인, 주말 종이신문 역점, 멀티미디어 기능 강화'라는 제목의 글이다.

미국 신문들이 종이신문의 위기를 맞아 평일 종이신문 발행을 줄이고 있다는 보고였다. 실제로 미시간의 앤 아버뉴스, 그랜드 래피즈 프레스, 머스키건 크로니클, 칼라마주 가젯, 잭슨 시티즌 패트리엇은 일주일에 3일만 종이신문을 발간하고 나머지 날들은 온라인 신문을 통해 뉴스를 전달하고 있다고 한다.

과연 이 모델이 한국에도 가능할까. 내가 경험해온 한국의 독자들은 휴일에 신문을 잘 읽지 않는다. 평일에 전투적으로 일하고, 주말과 휴일에는 그냥 쉬려는 경향이 강하다. 그래서 신문을 읽는 것조차 일의 연장선으로 생각한다. 그래서인지 한국에서 주말신문이 성공했다는 말을 듣지 못했다. 심지어 '일요신문'도 일요일에 읽는다기 보단 평일에 사서 읽는 비율이 훨씬 높을 것으로 보인다.


어쨌든 미국에서 실험하고 있는 사례들이라는 점에서 눈여겨봐둘 부분도 있다. 기억해둘 내용은 아래와 같다. 

-신문연구학자인 피카드와 스턴은 신문산업이 새로운 패러다임을 적용하지 않으면 안 되는 시기에 이르렀다고 단언한다.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서 구조적 모델을 창조하고 정보 전달 방식에서 획기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이를 네 가지로 나누어 설명한다.

비영리 협력 모델의 경우 비영리 조직으로 회사를 전환하자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기부 재단 모델은 기부 재단이 신문사를 경영할 경우 신문이 공공서비스를 보다 충실히 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공공정부 모델은 정부 차원의 저널리즘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것이다. 정부 산하 연구 기관이나 재단이 프로젝트를 신설해 그동안 해고된 언론인이나 시민 기자들이 이 프로젝트를 통해 언론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장을 제공하는 방법이다.

상업 모델은 독자 지불 모델의 대안으로 지불 선택 모델을 제안한다. 이는 일종의 기부 형태인데 원하는 기사를 얼마든지 볼 수 있게 해놓고 페이지마다 기부를 할 수 있도록 옵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프리미엄(freemium, free+premium)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미국 신문사들이 보여 준 혁신의 유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종이신문보다 온라인신문에 더 비중을 둘 것
종이신문은 주말판을 강화하고 평일판을 줄일 것
평일판은 격일로 발간하며 내용의 충실도를 더할 것
종이신문의 지면 디자인에 투자할 것
종이신문은 심층보도에 중점을 둘 것
온라인신문은 비디오 뉴스를 강화할 것
제3의 비즈니스(단체 구매 등)와 제휴 협력을 시도할 것
디지털 기술을 과감하게 도입하여 디지털 신문사로 거듭날 것
독자를 고객으로 여기고 고객 관리를 할 것
종이신문 구독자에게는 온라인신문 이용에 혜택을 부여할 것
신문사 운영 비용 절감을 위해 뉴스 제작 시스템을 디지털 포털로 일원화할 것
뉴스룸 내에서 종이신문과 온라인신문 제작 팀원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될 것
태블릿 앱 신문은 비디오뉴스와 그래픽을 강화할 것
스마트폰 앱 신문은 비주얼과 속보를 강화할 것
온라인신문의 유료화를 계획한다면 단독보도와 같은 기사의 희소성을 이용해 독자들이 지불가치를 느낄 수 있도록 할 것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