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에서 본 언론

왜곡 보도 조선일보는 어떻게 살아남는가?

김훤주 2011. 5. 9. 15:12
반응형
조선일보가 정부의 서훈 취소 결정을 두고 갖은 비겁한 짓을 해댔습니다. 이명박 정부더러 무능하다거나 좌파적이라거나 무식하다거나 하는 소리를 퍼부어댔습니다.

저는 그런 소리를 그냥 소리로만 여기는데요, 그것은 원래 그이들 속성이 그렇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저는 다만 어떤 주장을 하든 사실은 사실대로 적어야 하지 않느냐 생각하는데, 조선일보는 전혀 그럴 생각이 없는 것 같았습니다.

조선일보(월간 조선 포함)는 이번에 평기자와 논설위원과 고문까지 나서서 장지연의 친일 글들은 숨기고 장지연이 친일을 그다지 심하게 하지 않았다고 주장만 해댔습니다. 김정우라는 평기자와 김태익이라는 논설위원과 김대중이라는 고문이 장본인입니다.

그이들이 어떻게 했는지는 조선일보는 평기자가 고문을 쥐고 흔든다(http://2kim.idomin.com/1904)와
김태익이라는 조선일보 논설위원의 경우(http://2kim.idomin.com/1896)와
김대중이라는 조선일보 고문의 경우(http://2kim.idomin.com/1895)에 나름 담겨 있습니다만, 이런 수준 이하 글이 있는데도 그이들이 망하지 않고 살아 있는 것이 한편으로는 신기하기도 합니다.

사람들은 대부분 조선일보는 원래 힘이 세니까 그렇게 터무니없는 주장도 할 수 있고 국면도 쥐락펴락 할 수 있다고 여기지만, 실은 그렇게 하는 데에는 이른바 백조가 수면 아래에서 끊임없이 해대는 갈퀴질 같은 부분이 있습니다.

왜 있지 않습니까? 백조(우리 말로는 고니라 합지요만)가 물 위에 떠서 온갖 고고한 척을 다하지만 실제로 물 속에 있는 갈퀴는 잠시 쉬는 틈도 없이 죽어라 갈퀴질을 해댄다는 얘기 말씀입니다.

중앙일보 홍석현 회장은 언젠가 중앙일보의 자연 절독률(저절로 신문 구독을 중단하는 비율)이 50%에 이른다는 얘기를 한 적이 있는데요, 조선일보도 이에 조금 못 미칠 뿐 거의 비슷하다고 보면 다르지 않는 수준입니다. 한 해에 절반 가까운 독자들이 구독을 중단한다는 것입니다.

손에 들고 있는 봉투 안에는 현금 3만원이 들어 있습니다.


이것을 메우는 것이 바로 불법 경품 제공입니다. 해마다 50% 가까운 독자가 떨어져 나가고 마찬가지로 해마다 50%에 가까운 사람들을 불법 경품 제공을 통해 독자로 만드는 것입니다.

그 현장을 경남도민일보의 한 독자분이 잡아서 보내왔습니다. 4월 26일 오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삼계리 내서농협 삼계지점 앞에서 있었던 일입니다.

사진에 나오는 이 사람은 현금 3만원과 더불어 조선일보는 올 12월까지 무료 제공하고 소년조선일보는 계속 끼워주는 조건으로 내년 한 해 동안 조선일보를 정기 구독해 달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같은 지점에서 거의 날마다 불법 경품 제공 행위가 이뤄진다고도 했습니다.

한 해 구독료(18만원)의 20%(3만6000원)를 넘어서는 금품은 모두 불법이니 이 경우 소년조선일보 구독료는 빼더라도  11만4000원이 불법 경품이 됩니다. 이를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하면 적어도 114만원을 '신문 불법 경품 신고 포상금'으로 받을 수 있게 돼 있습니다.

사진에 나오는 이런 사람들은 "이렇게 하는 것이 불법 아니냐?"고 물으면 대부분 "먹고 살려니 어쩔 수 없다"면서 불쌍한 표정을 지어보입니다.

불쌍한 표정을 지어보인 사람이 건네준 조선일보 팀장 명함.


물론 전혀 틀린 말은 아닙니다.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바도 이 불쌍한 표정과 연관돼 있습니다. 김대중이라는 고문과 김태익이라는 논설위원과 김정우라는 기자가 지어보이는 근엄한 표정과 시건방진 호통은 이 불쌍한 표정들 덕분입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돈의 힘에 동원돼 전국 곳곳에서 이렇게 불쌍한 표정으로 불법 경품을 뿌리면서 신문 부수를 유지해 주니까 가능한 것입니다. 김대중이라는 고문과 김태익이라는 논설위원과 김정우라는 기자는 아마도 이런 사실을 모르거나 아니면 모르는 척하고 있을 것입니다.

그야말로 정말 불쌍한 존재들입니다. 이처럼 자기네 존재의 기반이 무엇인지를 모르거나 애써 무시하는 존재들이라도 나름대로 자기 존재의 값어치가 인정되기는 또 기대하겠지요만.

김훤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