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역일간신문을 20여 명의 인력으로 제작·운영할 수 있을까? 신문을 좀 아는 사람이라면 '택도 없는 소리'라며 콧방귀를 뀔 것이다.
사실 대개의 지역일간지는 100~150명 수준의 인력으로 운영된다. 하긴 지역신문이 수십 개씩 난립해 있는 경기도나 전라도 쪽에는 40~60여 명으로 운영되는 지역일간지도 있긴 하다. 그런 신문 중에는 '기자 채용'을 미끼로 돈을 받아먹는 회사도 있고, 아예 '무보수 명예직(?)'으로 기자를 부려먹는 곳도 있다고 한다. 그런 신문을 일컬어 이른바 '사이비 신문'이라고 한다.
어쨌든 취재·편집·총무·광고·판매·전산·윤전 등 제대로 된 신문조직을 갖추고, 최소한의 언론다운 언론 역할을 하기 위해선 적어도 100명 정도 이상은 필요하다는 얘기다. (사실 제작과정의 전산화 덕분에 절반 이상 줄어든 게 그 정도다. 과거 납 활자로 인쇄할 땐 200~300명에 달했다.) 그러다 보니 신문산업은 이미 경쟁력을 잃고 쇠락한 섬유나 전자부품 제조업체들보다 더 심하게 '노동집약적'이며 인건비 비중이 높은 고비용 산업이다. 요즘 전세계적으로 신문사 경영이 어려운 처지에 빠져 있는 것도 이런 고정비 탓이 크다.
그런데 단 20명으로 지역일간지를 제작·운영할 수 있다면 신문은 일순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변신할 것이다. 과연 그게 가능할까? 답은 한나라당의 신문법 날치기 처리 덕분에 가능해졌다는 것이다.
원래 신문법은 기존의 일간지가 다른 일간지를 복수로 소유하는 데 일정한 제한을 두고 있었다. 그런데 한나라당은 그것을 무제한으로 풀어버렸다.
노동집약산업을 고부가산업으로 바꿀 수 있다면 그게 바로 '선진화' 아니냐고? 맞다. 다양한 여론의 분출을 막고 언론을 획일적으로 통제하고 싶은 권력이나 재벌, 그리고 이미 신문재벌·언론권력으로 불리는 조·중·동의 입장에선 분명한 '선진화'일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고용창출'은 개똥 나발같은 소리다.)
그들로선 지역의 토착 자본가들과 손잡고 별도 법인으로 새로운 지역신문을 창간하거나 기존 지역신문을 인수하려 할 것이다. 그리고 10명 내지 20명, 많아야 30명 정도의 인력으로 '경남조선일보', '경남문화일보' 같은 지역신문을 발행할 것이다. 어떻게 그게 가능하냐고? 그거야 총 20면의 지면 중 1면부터 4·5면 정도만 로컬기사로 채우고, 나머지 지면은 전국 공통의 본지 기사로 메꾸면 된다. 편집·인쇄·판매 역시 이미 갖춰져 있는 본지 조직을 활용하면 20명도 사실 많다.
지금도 벌써 중앙일보가 천안·아산판을 10명이 조금 넘는 인력으로 제작하고 있고, '인천경향신문'도 10명 안팍의 인력으로 16면을 내고 있다. 이들의 경우는 아직 바뀐 신문법이 시행되기 이전이라 다소 어정쩡한 조직과 발행형태를 띠고 있지만, 복수소유가 전면 허용되면 토착자본가와 서울지가 공동출자한 별도 법인의 지역신문 창간(또는 인수)이 가시화할 것이다. 대형마트의 종업원들이 현지의 값싼 인력으로 채워지듯, 기자 월급도 현지 수준에 맞출 것이다.
그런데, 지금도 이미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조중동의 구독자 수가 현지 지역신문 독자보다 현저히 많은데, 굳이 왜 따로 지역신문을 소유하려 할까? 그건 그들의 진짜 목적이 독자보다 광고에 있기 때문이다. 특히 지방자치단체의 공고나 각종 축제·행사광고, 그리고 향토 중소기업의 단가 1000만 원 이하 광고시장을 싹쓸이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들은 어차피 구독료 수입으로 돈을 벌겠다는 생각은 없다. 기존의 본지에 얹어팔기 식으로 부수만 늘인 후, 지역광고시장을 독식하려 할 것이다. 표로 먹고사는 선출직 자치단체장들도 지역신문의 탈을 쓰고 전국적 영향력까지 들이미는 그들 신문에 광고를 주지 않을 도리가 없을 것이다. 오로지 광고가 목적인 그들은 철저히 광고주의 입맛에 맞는 기사를 양산할 것이고, 지역밀착보도나 지방권력 감시는 실종될 것이다.
서울에 본사를 둔 대형마트나 슈퍼슈퍼마켓, 편의점 때문에 재래시장과 동네 슈퍼가 망해가듯이, 또 기업형 서점 때문에 동네서점이 사라지듯, 그나마 제대로 지역의 여론창구 역할을 하려던 지역신문들은 하나 둘 쓰러지고, 그 자리엔 서울지의 지역체인점만 남게 될 것이다.
이마트와 홈플러스가 각축하고, 교보문고와 영풍문고가 패권을 다투듯, 지역언론시장도 서울지들의 아귀다툼판이 될 날이 멀지 않았다.
그러나, 죽어가는듯한 재래시장이 스스로 뼈를 깎는 자구노력과 정책의 뒷받침으로 나름대로 생존방안을 모색하듯, 지역신문도 그런 서울지의 공습을 막아낼 방도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닐 것이다. 과연 그것이 뭘까?
바로 이 물음이 요즘 내 고민이다. 고민의 결과물은 차차 공유하겠지만, 그 이전에라도 강호 제현의 한 수 지도를 부탁드린다.
사실 대개의 지역일간지는 100~150명 수준의 인력으로 운영된다. 하긴 지역신문이 수십 개씩 난립해 있는 경기도나 전라도 쪽에는 40~60여 명으로 운영되는 지역일간지도 있긴 하다. 그런 신문 중에는 '기자 채용'을 미끼로 돈을 받아먹는 회사도 있고, 아예 '무보수 명예직(?)'으로 기자를 부려먹는 곳도 있다고 한다. 그런 신문을 일컬어 이른바 '사이비 신문'이라고 한다.
어쨌든 취재·편집·총무·광고·판매·전산·윤전 등 제대로 된 신문조직을 갖추고, 최소한의 언론다운 언론 역할을 하기 위해선 적어도 100명 정도 이상은 필요하다는 얘기다. (사실 제작과정의 전산화 덕분에 절반 이상 줄어든 게 그 정도다. 과거 납 활자로 인쇄할 땐 200~300명에 달했다.) 그러다 보니 신문산업은 이미 경쟁력을 잃고 쇠락한 섬유나 전자부품 제조업체들보다 더 심하게 '노동집약적'이며 인건비 비중이 높은 고비용 산업이다. 요즘 전세계적으로 신문사 경영이 어려운 처지에 빠져 있는 것도 이런 고정비 탓이 크다.
하루 20면 짜리 지역신문을 발행하기 위해선 적어도 100명 이상의 인력이 필요하다.
그런데 단 20명으로 지역일간지를 제작·운영할 수 있다면 신문은 일순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변신할 것이다. 과연 그게 가능할까? 답은 한나라당의 신문법 날치기 처리 덕분에 가능해졌다는 것이다.
원래 신문법은 기존의 일간지가 다른 일간지를 복수로 소유하는 데 일정한 제한을 두고 있었다. 그런데 한나라당은 그것을 무제한으로 풀어버렸다.
노동집약산업을 고부가산업으로 바꿀 수 있다면 그게 바로 '선진화' 아니냐고? 맞다. 다양한 여론의 분출을 막고 언론을 획일적으로 통제하고 싶은 권력이나 재벌, 그리고 이미 신문재벌·언론권력으로 불리는 조·중·동의 입장에선 분명한 '선진화'일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고용창출'은 개똥 나발같은 소리다.)
그들로선 지역의 토착 자본가들과 손잡고 별도 법인으로 새로운 지역신문을 창간하거나 기존 지역신문을 인수하려 할 것이다. 그리고 10명 내지 20명, 많아야 30명 정도의 인력으로 '경남조선일보', '경남문화일보' 같은 지역신문을 발행할 것이다. 어떻게 그게 가능하냐고? 그거야 총 20면의 지면 중 1면부터 4·5면 정도만 로컬기사로 채우고, 나머지 지면은 전국 공통의 본지 기사로 메꾸면 된다. 편집·인쇄·판매 역시 이미 갖춰져 있는 본지 조직을 활용하면 20명도 사실 많다.
중앙일보 천안 아산판. 서울지가 지역신문을 운영하게 되면 이런 전국공통기사로 대부분의 지면이 구성될 것이다.
지금도 벌써 중앙일보가 천안·아산판을 10명이 조금 넘는 인력으로 제작하고 있고, '인천경향신문'도 10명 안팍의 인력으로 16면을 내고 있다. 이들의 경우는 아직 바뀐 신문법이 시행되기 이전이라 다소 어정쩡한 조직과 발행형태를 띠고 있지만, 복수소유가 전면 허용되면 토착자본가와 서울지가 공동출자한 별도 법인의 지역신문 창간(또는 인수)이 가시화할 것이다. 대형마트의 종업원들이 현지의 값싼 인력으로 채워지듯, 기자 월급도 현지 수준에 맞출 것이다.
그런데, 지금도 이미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조중동의 구독자 수가 현지 지역신문 독자보다 현저히 많은데, 굳이 왜 따로 지역신문을 소유하려 할까? 그건 그들의 진짜 목적이 독자보다 광고에 있기 때문이다. 특히 지방자치단체의 공고나 각종 축제·행사광고, 그리고 향토 중소기업의 단가 1000만 원 이하 광고시장을 싹쓸이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들은 어차피 구독료 수입으로 돈을 벌겠다는 생각은 없다. 기존의 본지에 얹어팔기 식으로 부수만 늘인 후, 지역광고시장을 독식하려 할 것이다. 표로 먹고사는 선출직 자치단체장들도 지역신문의 탈을 쓰고 전국적 영향력까지 들이미는 그들 신문에 광고를 주지 않을 도리가 없을 것이다. 오로지 광고가 목적인 그들은 철저히 광고주의 입맛에 맞는 기사를 양산할 것이고, 지역밀착보도나 지방권력 감시는 실종될 것이다.
서울지가 진짜 노리는 것은 지역 독자보다 이런 광고에 있다.
서울에 본사를 둔 대형마트나 슈퍼슈퍼마켓, 편의점 때문에 재래시장과 동네 슈퍼가 망해가듯이, 또 기업형 서점 때문에 동네서점이 사라지듯, 그나마 제대로 지역의 여론창구 역할을 하려던 지역신문들은 하나 둘 쓰러지고, 그 자리엔 서울지의 지역체인점만 남게 될 것이다.
이마트와 홈플러스가 각축하고, 교보문고와 영풍문고가 패권을 다투듯, 지역언론시장도 서울지들의 아귀다툼판이 될 날이 멀지 않았다.
그러나, 죽어가는듯한 재래시장이 스스로 뼈를 깎는 자구노력과 정책의 뒷받침으로 나름대로 생존방안을 모색하듯, 지역신문도 그런 서울지의 공습을 막아낼 방도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닐 것이다. 과연 그것이 뭘까?
바로 이 물음이 요즘 내 고민이다. 고민의 결과물은 차차 공유하겠지만, 그 이전에라도 강호 제현의 한 수 지도를 부탁드린다.
반응형
'지역에서 본 언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문사의 '편집권'은 누구에게 있을까? (3) | 2009.08.28 |
---|---|
언론노조 지부장 5명의 고민 들어보니… (2) | 2009.08.21 |
서울언론이 지역을 노리는 진짜 이유는? (4) | 2009.08.15 |
지역방송·지역신문의 우울한 미래 (4) | 2009.08.13 |
서울일간지의 공습, 지역신문의 운명은? (22) | 2009.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