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에서 본 언론

강유원 박사의 서평 '지역신문 기자로 살아남기'

기록하는 사람 2013. 1. 3. 15:55
반응형
제가 존경하는 인문학자이며 철학자인 강유원 박사께서 연말에 책을 읽은 후 짧은 서평을 보내오셨다. "편리하게, 필요한 곳에 활용하라"는 코멘트도 덧붙였다.

음. 어떻게 할까 생각하다가 이 블로그에 올려두기로 했다.

강 박사의 서평 중 "우리는 이념에 따라 살고 싶어하지만 사실은 ‘사는 곳’에 따라 산다. 따라서 나의 삶은 사는 곳이 어떠한가에 따라 달라진다."는 말은 나에게도 여러 가지 생각할 거리를 주었다. 

강유원 철학박사


김주완, 《SNS시대 지역신문 기자로 살아남기》, 산지니, 2012.

저자는 2012년 12월 현재 《경남도민일보》 편집국장이다. 그는 2010년 7월부터 그 일을 해왔다. 이 책은 저자가 2007년에 펴낸 《대한민국 지역신문 기자로 살아가기》(커뮤니케이션북스)의 후속편에 해당한다.

저자의 책 소개를 읽어보자: “이 책은 또한 5년 전 《대한민국 지역신문 기자로 살아가기》가 제기한 문제에 대한 자문자답형 결과보고서이기도 하다. 그 책에서는 주로 지역신문의 잘못된 실태와 관행을 드러내고 고쳐야 할 과제를 제기했다면, 이 책은 그런 문제를 고치고 극복해나가는 과정과 새로운 실험의 성과를 공유하자는 것이다. 물론 최종 결과는 아니고, 일종의 중간보고서에 불과하다.”

저자가 편집국장으로서, 신문사의 전 구성원과 함께 했던 일들은 다음과 같으며, 이것이 이 책의 구체적인 내용을 이룬다: “공공저널리즘과 수익사업을 접목”시키기, “지역신문만이 할 수 있는, 지역신문에서만 볼 수 있는 킬러콘텐츠… 지역인물 스토리텔링”, “‘블로거 지역공동체 구축’에 관한 내용”.

우리는 이념에 따라 살고 싶어하지만 사실은 ‘사는 곳’에 따라 산다. 따라서 나의 삶은 사는 곳이 어떠한가에 따라 달라진다.

지금이 SNS시대인지는 그것에 비하면 그리 중요하지 않다. ‘사회관계망’은 언제나 있어왔고 그것의 특징은 매체가 아닌 ‘곳’에 따라 규정되어왔기 때문이다. 지역신문은 바로 그 사는 곳에 밀착해있다.(이 책이 지역의 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는 점도 주목해야만 한다) 지역신문이 삶에서 중요한 이유는 여기에 있다.

저자에 따르면 “이 책에 나오는 이야기는 신문사 편집국의 실험에 한정된 것”이라 하고 있지만 조금만 주의깊게 읽어보면 저자가 가진 문제의식과 제시하는 대안은 한국의 정치가 지향해야 하는 전범이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2013년을 위한 책’이다. /강유원

원문 블로그 주소 : http://frostpathway.wordpress.com/2013/01/01/sns시대-지역신문-기자로-살아남기/

강유원


대학과 대학원에서 철학을 공부하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인간다운 삶을 위해서는 고전 공부를 해야 한다고 믿는 지식주의자이지만, 시대와 역사를 모르면 모든 공부가 공허할 뿐이라는 현실주의자이기도 하다.

'인문철학자'로서 철학, 역사, 문학, 정치, 종교, 문화 등 다양한 분야를 유기적으로 탐구하고 있으며, 강의와 글쓰기, 번역을 통해 공동 지식과 공통 교양의 확산에 힘쓰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책과 세계』 『서구 정치사상 고전읽기』 『강유원의 고전강의 공산당 선언』 『주제: 강유원 서평집』 등을 썼으며, 『인문학 스터디』(공역) 『경제학-철학 수고』 『역사와 역사가들』(공역) 『낭만주의의 뿌리』(공역) 『홉스와 로크의 사회철학』 『헤겔 근대 철학사 강의』(공역)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SNS시대 지역신문 기자로 살아남기 - 10점
김주완 지음/산지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