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에서 본 세상

창녕군은 도요오카시를 따라할 수 있을까?

김훤주 2015. 4. 1. 12:00
반응형

일본 효고현 도요오카시는 멸종된 황새를 야생에 복원한 선구자입니다.

 

일본 야생에서 황새가 사라진 까닭은 논밭에 뿌려댄 농약에 있었습니다. 도요오카시는 1958년부터 헬리콥터로 무차별적으로 농약을 뿌려댔습니다.

 

황새는 사는 영역이 사람과 겹칩니다. 황새는 얕은 물에 사는 미꾸라지나 붕어나 논고둥 같은 생물을 먹고 삽니다. 먹는 양이 엄청나서 하루에 5㎏, 미꾸라지로 치면 80마리랍니다. 개울과 도랑이 실핏줄처럼 흘러다니는 야트막한 산기슭이나 들판이 황새들 먹이터입니다.

 

농약이 황새 멸종 원인임은 1966년 도쿄교육대학 일본응용동물곤충학회 '황새의 죽음' 연구·발표에서 확인됐습니다. 야생에서 죽은 황새 세 마리를 검사했더니 수은이 치사량 수준이었던 것입니다.

 

경남람사르환경재단 이찬우 박사 사진.

 

어미가 농약에 중독돼 있는데 새끼가 제대로 태어나기를 기대할 수는 없는 노릇이었습니다. 도요오카시는 이에 한 해 전 시작한 황새 인공 사육과 번식에 더욱 노력했으나 처음 20년 동안은 실패의 연속이었습니다.

 

1985년 러시아에서 야생 황새 여섯 마리를 들여오면서 사정이 달라졌고 이윽고 1989년 인공 번식으로 두 마리 황새가 태어나는 성공을 거뒀습니다.

 

도요오카 인공둥지탑과 황새들.

 

도요오카시는 상급 자치단체인 효고현과 더불어 황새 인공 사육·번식 시설을 확충하는 한편 야생 방사에 대비해 '황새를 키우는 농법' 개발·보급에 나섰습니다.

 

이른바 황새농법은 황새가 자연 생태 하늘을 날아다니도록 하는 데 목표가 있었습니다. 도요오카 일대 논밭에다 사람들이 계속 농약을 뿌려대는 이상, 황새 방사는 시체 생산과 다를 바 없는 수작이었습니다.

 

황새농법 요지는 이렇습니다. 황새 먹이 생존 확대 농법, 무농약·저농약 농법, 일품이 관행농업보다 늘어나지 않는 농법, 소출이 줄어들지 않는 농법.

 

도요오카 이즈시초에 있는, 일본 야생에서 태어나 우리나를 찾아온 첫 황새 봉순이가 태어난 인공둥지탑. 2월 13일 찍었는데, 황새 한 마리가 앉아 있습니다.

 

이렇게 황새농법이 개발됐지만 실제 적용은 또다른 문제였습니다. 농민뿐 아니라 사람은 누구나 낯선 것보다 익숙한 것이 좋기 마련입니다. 낯선 농법은 더 큰 매력이 필요했습니다.

 

도요오카시는 지역농협을 통해 황새농법 쌀을 죄다 비싼 값에 사들이도록 했습니다. 수매가가 30㎏ 기준으로 일반농법 쌀은 6500엔 정도지만 황새농법으로 키운 쌀은 저농약이 8500엔, 무농약은 1만 1000엔입니다.

 

지역농협은 이를 '황새의 춤' 브랜드로 만들어 자체 유통망으로 파는데요 없어서 못 파는 수준이라고 합니다.

 

황새의 춤.

 

그런데, 이런 일들이 어떻게 가능했을까요? 우리나라라면 과연 꿈이라도 꿀 수 있을까요?

 

우리나라는 도랑 관련은 하천과에서 하고 농법 관련은 농업기술센터에서 하고 시설물 설치는 토목과에서 하고 유통은 또다른 어떤 부서에서 했을 것입니다.

 

이렇게 나뉘면 엇박자가 나서 생태계 복원이나 사람과 자연의 공존 같은 가치는 현실이 아닌 머릿속이나 맴돌 수밖에 없습니다.

 

도요오카시에는 '황새공생부'라는 조직이 있습니다. 황새 관련 모든 사업을 총괄하는, 다른 부서 눈치 보지 않고 또 휘둘리지도 않는, 우리로 치면 '과'보다 높은 '국' 단위 부서입니다.

 

이런 부서가 있고 이런 부서를 운영하는 단체장이 있었기에, 1965년부터 1989년까지 20년 넘게 인공번식에 실패해 죽을 쑬 때도 휘둘리지 않고 황새 복원을 목표로 일할 수 있었습니다.

 

따오기 박제.

경남에서는 창녕군이 따오기를 두고 도요오카시와 같은 일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창녕군에는 이런 따오기공생국이 없고 따오기공생과도 없습니다.

 

이래 갖고는 따오기와 인간의 공생(共生)은커녕 물론 따오기 혼자만의 독생(獨生)도 이룩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김훤주

※경남도민일보 3월 31일치에 실린 ‘데스크칼럼’을 조금 보완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