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후조창 3

경치 빼어난 요충에 자리잡은 삼랑창

[하천과 문화] (8) 1765년 설치된 조세창고 낙동강·밀양강 한눈에 해질 녘 노을·물새 '장관' 아전·뱃사공 규정 무시해 환곡 사채놀이 등 전례도 ◇조선시대 경남 내륙 조세 창고 조선 시대 조세 창고가 경남에는 셋이었다. 창원 마산창, 사천 가산창, 밀양 삼랑창이다. 삼랑창은 1765년, 마산창·가산창은 1760년 설치되었다. 삼랑창은 낙동강 강가에, 나머지 둘은 남해 바닷가에 있다. 조세로 받은 물품을 운송하는 수단이 주로 배편이라 그랬다. 김정호가 1860년대 작성한 에는 이렇게 나온다. "밀양·현풍·창녕·영산·김해·양산 여섯 고을의 전세(田稅)와 대동미(大同米)를 운송하여 서울로 보냈다. 밀양부사가 받는 것을 감독하고 제포만호가 거느리고 가 바쳤다." 은 당시 정황을 1765년 11월 14일 자..

가본 곳 2020.04.15

삼랑창 뒤편 후포산의 사라진 의충사

조선 시대 조세 창고가 경남에는 셋이었다. 창원 마산창, 진주(지금은 사천) 가산창, 그리고 밀양 삼랑창이었다. 마산창과 가산창은 1760년 생겼고 삼랑창은 1765년 생겼다. 마산창은 임금이 있는 서울에서 볼 때 왼쪽에 있어서 좌(조)창이 되었고 가산창은 우(조)창이 되었다. 삼랑창은 후(조)창이라 했는데 앞쪽 바닷가에 있지 않고 뒤쪽 육지 한가운데 있어서 그랬다. 지금 밀양시 삼랑진읍 삼랑리 일대다. 밀양강이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어귀다. 밀양강 물결(浪)과 낙동강 물결과 부산에서 밀고 드는 바다 물결 이래서 삼(三)랑이 된다고 한다. 조세 창고가 있었으니 지키는 시설도 당연히 있었겠다. 뒷산 후포산에 산성이 있었다. 후포산으로 올라가는 길목에 비석들이 줄줄이 서 있다. 옛적 삼랑창이 있던 시절 고을 ..

가본 곳 2018.03.29

가식과 위세가 없으면 왜 심신이 편해질까?

밀양 삼랑진읍 삼랑리 상부마을에 갔더니 ‘후조창 유지 비석군’이 있었다. 옛적 고을 수령 선정을 기리는 이른바 선정비들이다. 삼강사비 있는 오우정으로 올라가는 언덕배기 꺾어지는 길목이다. 후조창은 1765년 여기에 설치되었던 조창인 삼랑창을 일컫는 말이다. 조창(漕倉)은 지역에서 조세로 곡식·면포·특산물을 걷어모아 쌓아두는 창고를 말한다. 경남에는 사천 가산창과 마산 마산창(또는 석두창, 1760년 설치)과 더불어 삼랑진 삼랑창 셋이 있었다. 가산창은 임금이 있는 서울에서 볼 때 오른쪽에 있기 때문에 우(右)조창, 마산창은 그 왼쪽에 있어서 좌(左)조창, 삼랑창은 바다가 있는 앞쪽이 아니라 그 뒤쪽인 내륙에 있었으므로 후(後)조창이라 했다고 한다. 가장 안쪽에 바위가 하나 있다. 거기에는 崇梅臺(숭매대)..

가본 곳 2017.07.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