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도롱뇽 5

문재인 보면 천성산 지율스님이 생각난다

민주통합당 대통령 후보 경선 국면에서 김두관 선수가 자신을 친노와 구분지으려 한 적이 있습니다. 이를 두고 문재인 선수는 조선일보와 7월 18일 한 인터뷰에서 김두관이 노무현 정부에서 행정자치부 장관을 했음을 들어 '김두관은 친노 코어(core·핵심)'라 잘라 말했습니다. 그러면 문재인 선수는 무엇일까요? 노무현이 대통령 후보이던 시절 바로 옆에서 수행을 했고 청와대에서 민정수석비서관과 시민사회수석비서관과 비서실장 자리를 오랫동안 누렸으니 '문재인은 친노 코어 가운데서도 코어(core of cores)'가 되겠습니다. 친노 코어 오브 코어스 문재인 이런 친노 코어 오브 코어스를 보면 저는 지율스님과 천성산이 자동으로 떠오릅니다. 그이는 2002년 10월 대선 국면에서 지율스님을 비롯해 불교계와 환경단체들..

중앙일보 임현욱이라는 기자의 경우

중앙일보에 임현욱이라는 기자가 있나 봅니다. 이 기자는 지난 17일치 에서 경남 양산 천성산 밀밭늪과 화엄늪을 둘러본 발길을 바탕삼고 자기가 보지도 않은 도롱뇽을 내세워 지율 스님을 때리는 기사를 썼습니다. 관련 블로그 : 지율스님을 때리려면 좀 똑바로 때려라 그런데 임현욱이라는 기자가 지율 스님을 어떻게 취재했는지에 대해 지율 스님한테서 얘기를 듣고나서 과연 그렇게 하는 것이 타당한지, 취재 윤리에 어긋나지는 않는지 등등 의문이 들었습니다. 지율 스님한테서 들은 이야기를 그대로 옮겨보겠습니다. 지율 스님에 따르면 임현욱이라는 기자는 자기 신분을 속였습니다. '전쟁 또는 천재지변에 준하는 사태'가 아니면 이렇게 기자가 신분을 속이는 일은 없습니다. 저는 다만 적기만 하겠습니다. 판단은 읽으시는 분들의 몫..

지율 스님을 때리려면 좀 똑바로 때려라

중앙일보에서 발행하는 '중앙 SUNDAY'가 지난 17일치에 기획취재랍시고 쓴 기사가 있습니다. 한 꼭지도 아니고 1면과 6·7면에 걸쳐 무려 네 꼭지나 실었습니다. "올 봄 천성산 웅덩이엔 도롱뇽·알 천지였습니다", "공사 때문에 물 말랐다면 우리가 가만히 있겠느냐", 94년 정부 보고서, 동·식물 영향 평가 빠져 논란 시작, "천성산 터널 개통하면 내가 할 일 많을 것"……. 중앙일보는 이를 받아 18일자에서 22면에 "습지 말라 도롱뇽 다 죽는다던 천성산 가보니"라는 '중앙 SUNDAY 기획취재'를 실었습니다. 같은 기자가 쓴, 내용은 거의 다르지 않은 글이었습니다. 제목만 봐도 대충 짐작하겠지만, 2000년대 우리 사회를 달군 쟁점 가운데 하나였던 천성산 고속철도 터널 관통과 관련된 것이었습니다...

멋대로 모욕하고도 사과는 안 하는 신문

5월 26일 메일을 하나 받았습니다. 지율 스님이 보냈습니다. 물론 제게만이 아니고, 다른 여러 사람한테 함께 보내는 그런 메일이었습니다. 제목이, '어떤 운명'이었습니다.(초록의 공명 홈페이지http://www.chorok.org '길에서 쓰는 편지'에 '어떤 죽음을 애도하며'로 같은 글이 올라 있습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와 조선일보 보도 따위를 보면서 들었던 생각들을 담고 있었습니다. 1. 지율과 노무현의 인연 저는 지금도 지율 스님이 떠오르면 가슴부터 꽉 막힙니다. 그런 영혼은 세상에 다시 없을 것입니다. 지율은 2002년 대통령 선거에서 고속철도 천성산 관통노선 변경 공약 채택 운동을 벌여 같은해 10월 26일 노무현 당시 후보로부터 백지화·재검토 약속을 받아냅니다. 그러나 그것은 문제 ..

봄에 가본 논은 생태계의 보고였다

개구리 올챙이 도롱뇽 논고둥 별꽃 봄까치꽃 논은 우리 역사에서 아주 중요하답니다. 경남만 따져 봐도 논농사는 늦어도 3000년 전에 시작이 됐습니다. 밀양시 산외면 금천리(琴川里) 일대 밀양강과 단장천이 합류하는 지점 유적이 그 증거입지요. 2001년부터 2003년까지 경남대학교 박물관이 발굴한 결과 보(洑)와 봇도랑, 무논(水畓) 같은 농경 유적을 비롯해, 불땐 자리와 마을 집터 같은 무문토기 시대 초기 생활 자취들이 함께 모습을 드러낸 것입니다. 이런 논농사 자취는 2005년 발굴된 마산 진동면 청동기 유적지는 물론 발굴이 그보다 앞선 남강댐 수몰지구 진주 대평리와 울산 무거동·야음동 같은 신석기 유적지에서도 나타났다고 합니다. 우리 겨레와 역사를 함께하면서 먹을거리를 대주는 구실을 톡톡히 했다는 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