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김진숙 10

책 소개를 위해 지인들에게 보낸 메일

안녕하세요? 경남도민일보 이사/출판미디어국장을 맡고 있는 김주완입니다. 오랜만에 소식 전합니다. 저희는 '지역신문이 뉴스기업이 아니라 종합 콘텐츠기업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출판물을 펴내고 있습니다. 이번에 권해드리고 싶은 출판물은 '사람'에 대한 콘텐츠로 만들었습니다. 하나는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 대한민국에서 우리 국민에게 이루 말할 수 없는 악행을 저지를 악인들의 이야기입니다. 역사교과서에는 나오지 않는 인물들입니다. 하지만 광복 70년을 넘기면서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결코 잊어서는 안 될 인물들이기도 합니다. 그들의 악행을 낱낱이 기록하여 역사의 재단에 세워야 한다는 마음으로 저희 임종금 기자가 썼습니다. +알라딘 책 소개 보기 http://aladin.kr/p..

별난 사람 별난 인생 그래서 아름다운 사람들

머리말 직업 특성상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같은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적극 활용하는 편이다. SNS가 주는 피로감 가운데 끊임없이 누군가를 비판하거나 욕하는 글을 봐야 한다는 것도 있다. 물론 내가 공감하는 비판이 더 많지만, 그런 글을 계속하여 읽다 보면 나도 모르게 하루 종일 짜증과 분노에 휩싸여 있을 때가 많다. 그래서 나는 가급적 즐겁고 재미있는 일이나, 알아두면 도움이 될 만한 것들을 올리려 노력하는 편이다. 답도 없는 비판이나 분노를 표출하는 건 내 글을 보는 친구들에게도 스트레스를 주는 일이라 여겨서다. 일선 기자 시절 나도 은폐되어온 역사의 범죄를 발굴하여 까발려왔고, 토호세력이나 권력자에 대한 비판을 일삼아 해왔지만, 아무리 그래도 변하지 않는 현실에 답답함을 ..

김진숙에게 진보정당에 대해 물었습니다

"저는 사실 여기 올라온 순간부터 정리해고 철회보다는 이 크레인을 마징가제트로 개조하는 일에 더 관심이 많습니다. 근데 자기 전에 꼭 이 크레인 아래서 외치고 가는 아저씨가 계세요. '절대 딴 생각 하지마이!! 아랐쩨?' 저 아저씬 도대체 어떻게 아셨을까요?" 크레인 농성 10일째였던 2011년 1월 16일 '소금꽃' 김진숙(@JINSUK_85)이 트위터에 올린 글이다. 309일 간의 농성을 마치고 내려온 그를 만났다. 엄동설한 차가운 쇳덩어리 위에서 어떻게 이런 낙관적이고 위트 넘치는 글을 올릴 수 있었는지 물었다. "하하. 트위터에 대해 아무런 지식도 없이 시작하게 되었는데, 여기에 무슨 말을 써야 하나 고민했어요. 그런데 '이 싸움에 여러분들이 연대해주십시오' 이런 말을 쓰기가 싫더라고요. (……)..

마산 만초집 조남륭, 부산 한진중 김진숙

2011년 12월 15일 마산 창동 실비집 만초에서 갱블 송년회를 했습니다. '갱블'이란 갱상도 블로그, 경남도민일보에서 운영하는 메타블로그의 이름입니다. 그러니까 갱블에서 활동하는 이런저런 블로거들을 모시고 송년 행사를 치른 것입니다. 송년회에는 스무 분 남짓이 참여를 했습니다. 자리가 비좁을까봐 걱정을 하기도 했습니다만 오히려 비좁은 덕분에 다닥다닥 붙어 앉아서 좀더 정겨운 가운데 송년회를 할 수 있었습니다. 게다가 미리 주문을 하기는 했지만 평소와는 다르게 밥과 국을 먹을 수 있었고 나오는 안주도 보통 때와는 좀 달랐습니다. 어쨌거나 저희들은 이렇게 모여서 즐겁게 놀았습니다. 이날 압권은 만초집 안주인의 노래였습니다. 지금은 '여자의 일생' 말고는 이날 부른 노래의 곡목이 기억나지 않는데 안주인의 ..

김진숙 "박근혜는 아버지 재산 내놓아라"

오늘(16일) 오후 4시 30분 부산일보 앞에서 집회가 열립니다. 정수재단을 사회에 환원하라고 촉구하는 전국언론노조 연대집회입니다. 아시다시피 정수재단은 박근혜 한나라당 의원의 아버지 박정희의 '정', 어머니 육영수의 '수' 자를 따서 만든 재단입니다. 정수재단은 부산일보를 사실상 강탈하여 100% 소유하고 있고, MBC 지분도 30%를 소유하고 있죠. 이런 정수재단으로부터 독립하기 위해 투쟁하고 있는 언론노조 부산일부 지부 이호진 위원장은 회사측으로부터 해고당했고, 이런 실상을 부산일보 지면을 통해 보도한 이정호 편집국장까지 사실상 직위해제된 상태입니다. 저도 오늘 부산일보 앞 집회에 가보려 합니다. 제가 부산일보에 어떤 힘이 되기 보다는, 이정호 편집국장과 언론노동자들의 용기있는 투쟁에서 제 스스로 ..

2007년 마산에서 '먹튀'한 한진중공업

부산 영도조선소 대규모 정리 해고로 나라가 들썩이도록 말썽을 부리고 있는 한진중공업. 그러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174억원에 이르는 이익을 주주들에게 배당한 한진중공업. 이런 한진중공업이 한 때 마산에도 있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드문 것 같습니다. 이 한진중공업이 1998년 마산에 있는 코리아타코마(나중에 한진중공업 마산조선소로 재편)를 인수한 뒤 2007년 이를 되팔아 치울 때까지 벌인 행동을 보면, 그 뒤에 나온 말이기는 하지만 '먹튀'의 전형이 이밖에 따로 없겠다 싶은 느낌이 듭니다. 한진중공업은 부도를 맞고 법정관리 상태에 있던 코리아타코마조선 주식 100%를 당시 계열사였던 한국항공과 평해광업개발로부터 사들였으며 이듬해 정기주주총회를 통해 합병했습니다. 그 때 주가가 얼마였는지는 제가 알지 ..

한진중 영도조선소는 과연 없어지지 않을까

1. 처음에는 3700명 이상 지금은 670명 한진중공업은 1989년 부산 영도조선소를 인수했습니다. 영도조선소는 그 때까지 '대한조선공사' 간판을 달고 있었습니다. 한진중공업 영도조선소가 된 1989년 당시 여기 노동자는 3200명이었다고 합니다. 한진중공업은 이에 더해 마산에 있던 군함 수리·건조업체 코리아타코마 주식 100%를 1998년 사들였고 이듬해 합병하면서 한진중공업 마산조선소로 바꿨습니다. 제가 알기로 합병 당시 코리아타코마 직원이 500명 정도였습니다. 1972년 설립된 코리아타코마는 잘 나가던 1980년대 후반과 90년대 초반에는 고용 인원이 1000명을 웃돌기도 했습니다. IMF사태 직후였어도 그 정도는 충분히 되고도 남음이 있습니다. 이 마산조선소를 한진중공업은 2007년 성동조선해..

부산시민이 희망버스 찬성 or 반대하는 까닭

어제(30일) 부산에 모인 희망버스 행사에 다녀왔습니다. 경남도민일보에서는 저를 포함에 모두 10명이 함께 갔는데요. 취재 목적으로 간 기자도 있고, 언론노조 차원에서 간 사람도 있었습니다. 거기서 한진중공업 사태와 희망버스에 대해 아주 극명하게 다른 시각을 가진 부산시민 두 사람을 만났는데요. 희망버스에 찬성하는 부산시민은 저희를 자갈치 시장에서 부산역까지 태워주신 택시기사였습니다. 또 한 분은 밤 11시쯤 영도다리 앞에서 만난 분이었는데요. 그 분은 희망버스를 저지하기 위해 모인 어버이연합과 행동을 함께 하고 있었습니다. 부산 사람들, 정말 화끈했습니다. 찬성하는 이유도 화끈하고, 반대하는 이유도 화끈했습니다. 두 분의 입장이 모든 부산시민을 대변하는 건 아니겠지만, 그 분들이 왜 찬성하고, 왜 반대..

정동영에게도 과연 진정성이 있을까

1. 나는 정동영의 진정성을 믿지 않았었다 사실 저는 민주당 최고위원 정동영 국회의원을 별로 좋지 않게 여겨왔습니다. 2007년 대선에서 허망하게 무너진 까닭을 저는 정동영에게 이른바 진정성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여기고 있습니다. 기자 노릇을 하다 보니 정동영 같은 이름난 인사도 어쩌다 만나곤 했는데, 2007년인가에 만난 기억이 저를 그렇게 만들었습니다. 정동영 의원은 아마 기억하지 못하겠지만, 그 때 그이는 노마드(Nomad), 고구려, 광개토 어쩌구 저쩌구 하는 얘기들을 했습니다. 당시는 상업 광고에서도 손전화와 노트북 컴퓨터만 하나씩 달랑 들고 세계를 누비며 새로운 경험을 쌓고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는 뭐 이런 이미지가 나오곤 했습지요. 아시겠지만, 노마드는 제가 알기로 유목민을 뜻하는, 한 군데 정..

희망버스 취재 중 최루액 직접 맞아보니

아! 속았다. 난 그게 그냥 물대포인줄 알았다. 폭우도 맞았는데 이쯤이야, 했다. 포물선을 그리며 내쪽으로 향하는 하얀 물대포를 향해 아이폰 카메라를 조준했다. 찰칵! … 촤~악! 그 순간부터 암흑이었다. 눈이 아파 뜰 수 없었다. 호흡도 잘 되지 않았다. 숨을 쉬려면 기침이 먼저 나왔다. 방향감각도 잃어버렸다. 그냥 밀물처럼 쏠려가는 인파에 몸을 맡길뿐이었다. 떠밀리는 동안 몸에 부딪히는 사람들의 발걸음이 빨라졌다. '여기서 쓰러지면 밟혀죽을 수도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스쳤다. 누군가 구령처럼 "천·천·히, 천·천·히"를 외쳤다. 주위 사람들이 따라서 "천·천·히"를 연호했다. 아~ 다행이다. 그렇게 한참을 인파 속에 떠밀렸다. 그 사이 카메라 가방에서 타월을 꺼내 눈을 닦았다. 그러나 눈을 뜰 수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