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치단체 광고 2

동병상련에 처한 지역신문과 재래시장

지역일간신문을 20여 명의 인력으로 제작·운영할 수 있을까? 신문을 좀 아는 사람이라면 '택도 없는 소리'라며 콧방귀를 뀔 것이다. 사실 대개의 지역일간지는 100~150명 수준의 인력으로 운영된다. 하긴 지역신문이 수십 개씩 난립해 있는 경기도나 전라도 쪽에는 40~60여 명으로 운영되는 지역일간지도 있긴 하다. 그런 신문 중에는 '기자 채용'을 미끼로 돈을 받아먹는 회사도 있고, 아예 '무보수 명예직(?)'으로 기자를 부려먹는 곳도 있다고 한다. 그런 신문을 일컬어 이른바 '사이비 신문'이라고 한다. 어쨌든 취재·편집·총무·광고·판매·전산·윤전 등 제대로 된 신문조직을 갖추고, 최소한의 언론다운 언론 역할을 하기 위해선 적어도 100명 정도 이상은 필요하다는 얘기다. (사실 제작과정의 전산화 덕분에 ..

서울언론이 지역을 노리는 진짜 이유는?

이 글을 써야 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이 많았다. 신문법 통과 이후 지역신문의 미래에 대한 이야기다. 어쩌면 지역 신문시장 장악을 노리는 서울지역 일간지들에게 '돈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결과가 될 수도 있을 지 모른다. 하지만 내가 가만히 있는다고 해서 막을 수 있는 일도 아니다. 특히 이런 고민조차 않고 있는 지역신문 종사자들이 대부분이란 현실이 이 글을 쓰게 했다. 그도 그럴 것이 한나라당의 언론악법 날치기 파동 이후, 신문-방송 겸영 허용이 방송시장에 미치는 파장에 대해선 보도가 넘쳐나지만, 정작 지역신문의 운명에 대해선 당사자인 지역신문조차 제대로 다루는 걸 보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지역신문 기자들도 '종합편성PP'니 '민영미디어렙'이니 하는 온갖 어려운 용어들을 입에 올리면서도 정작 자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