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인 10

농부 서정홍의 삶이 돋보이는 까닭

1. 그저 '나는 나'라는 사람 "저는 저를 알아달라고 농사짓거나 시를 쓰는 게 아닙니다. 누가 알아준다고 내 삶이 넉넉해지는 것도 아니고, 누가 알아주지 않는다고 내 삶이 초라해지는 것도 아닙니다. 그저 '나는 나'입니다."(50쪽) 만약 서정홍이 명함에 '농부 서정홍'이라 하지 않고 '시인 서정홍'이라고 적어 다니며 여기 이 책 을 펴내고 이런 말을 담아 넣었다면 그다지 믿음이 가지 않을 것입니다. "농부는 …… 땀 흘려 일을 하지만 결과는 하늘에 맡기고 기다릴 줄 아는 사람이다. 그래서 늘 고마워할 줄 알고, 어렵고 힘든 일이 있어도 민들레처럼 봄을 노래하는 사람이다. 아무리 어려운 처지에서도 절망하지 않고 나눌 줄 아는 사람이다."(60쪽) 만약 서정홍이 농사를 짓지 않는다면, 또 농사를 지어도 ..

노루표 페인트 노동자와 도종환 시인

도종환 시인 글이 떠올려준 노루표 페인트 노동자 2010년 12월 25일치 18면을 보면 '도종환의 나의 삶 나의 시' 스물여섯 번째가 연재되고 있습니다. 제목이 '책임 저편의 무책임… 미안하고 아팠습니다'입니다. 이 글을 읽다 보니 1985년 감옥에서 만났던 노루표 페인트 노동자가 생각이 났습니다. 저는 그해 7월 스물세 살 나이로 서울구치소에 들어갔는데, 두 살인가 많았던 노루표 페인트 노동자 형은 저보다 앞서 들어와 있었습니다. 그 형은 이번이 두 번째라 했습니다. 국민학교만 나왔다는 그 형은 키가 작았습니다. 저는 키가 184cm인데 그 형 머리는 제 어깨 높이를 넘지 못했습니다. 그 형은 활달했습니다. 늘 웃는 얼굴이었습니다. 그 형은 자기가 노동쟁의를 벌이다 붙잡혔는데, 두 번째라서 이번에는 ..

흉터와 상처 없이 '행복론'을 쓸 수 있을까

1. 서정홍에게도 삶은 고달픈 것이라는 깨달음 경남의 창원과 마산에서 노동운동을 하면서 언제부터인지도 모르게 서정홍 선배를 만나 알게 됐고 스무 해 가까운 세월 동안 참으로 많은 영향을 받았습니다. 시를 쓴다거나 책을 낸다거나 아니면 운동을 한다거나 하는 일에서도 도움을 많이 받았습니다. 그러나 그보다는 다른 데서 받은 도움과 영향이 더 많았습니다. 제게 서정홍 선배는 언제나 '시원한 물줄기'였습니다. 저는 그 물로 목마름을 가시게도 했고 깨끗함을 더하게도 했습니다. 괴롭고 어려울 때 서정홍 선배를 만나 얘기를 주고받으면 괴로움과 어려움이 덜해지고, 즐겁고 기쁠 때 만나 얘기를 나누면 즐거움과 기쁨이 곱이 됐습니다. 선배는 제가 하고 싶은 모든 얘기를 다 들어줬고, 선배도 무슨 얘기든 그것이 선배 속에 ..

노는 듯이 일한다는 농부시인 서정홍

"많은 동물들이 모여 살던 산에 불이 났습니다. 불길은 맹렬한 바람을 불러 숲을 태웠고 모든 동물들은 무서운 불길을 피해 이리저리로 달아났습니다. 그런데 작은 새 한 마리가 10리 밖 먼 곳에 있는 저수지에서 물을 입에 물고 와 불을 끄고 있었습니다. 물론, 불길은 점점 더 커졌지요. 그러나 그 작은 새는 그래도 밤새 물을 입에 물어다 불타고 있는 산에 뿌렸습니다. 이 모습을 본 달아나던 다른 동물들이 작은 새에게 왜 혼자 끄지도 못할 불을 끄겠다고 고생을 하고 있느냐고 묻자 작은 새가 울면서 대답했습니다. 저 불길 속에 타고 있는 나무와 꽃과 작은 벌레들은 이제까지 나의 가장 친한 벗이었다고, 지금 친구들이 불에 타고 있다고." 지율 스님이 쓴 책 에 나오는 대목입니다. 양산 내원사에서 천성산 산지기를..

문학이 살 길은 문학 밖에 있다

1. 위기를 벗어나지 못하는 문학 문학이 위기입니다. 음악·미술이나 연극 같은 장르는 발전을 거듭하지만 문학은 제자리 걸음이거나 아예 뒷걸음질을 일삼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좀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문학이 아니라 문인이 위기입니다. 대부분 문인들이 지금 상황을 위기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입니다. 그러다 보니 옛날부터 해오던 관행에 젖어 벗어날 줄을 모릅니다. 지난해 10월 마산문인협회가 발간한 이 바로 그 보기입니다. 제1권 운문편 518쪽, 제2권 산문편 510쪽, 제3권 출향·연고·작고 문인편 646쪽에 이르는 이 선집은 안팎에서 혹평을 받았습니다. 물론 주체인 마산문협은 10월 31일 호텔에서 출판기념회를 성대하게 열었답니다. 아주 우스꽝스럽지요. 강호인 당시 회장은 "문학이 첫 자리에 ..

발 아래 초록 풀에서 느끼는 보람

겨울이 되면 모든 풀들이 시들어 버리고 푸른 잎은 아예 볼 수 없는 줄 여기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물론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적지 않지만, 밥벌이에 정신을 놓고 사는 대부분은 한겨울 푸른 잎의 존재를 제대로 모릅니다. 아마 이 여성 시인도 그랬나 봅니다. 저랑 나이가 비슷한데, 몇 해 전 어떤 매체에다 자기 사는 아파트 조그만 뜨락에서 한겨울에 푸른 풀을 보고 깜짝 놀랐던 경험을 풀어놓았습니다. 그것을 보고 저는 여러 생각을 했습니다. 가장 먼저 든 생각은 그 여성 시인, 며칠 동안 밤샘을 했겠구나, 였습니다. 무슨 밤일을 그렇게 하느냐고? 아닙니다. 하하. 사람은 보고 듣고 느낀 바를 어떻게든 표현하려는 욕심이 있습니다. 그럴듯한 작품을 만들었는지는 모르지만, 어쨌든 좋은 시 한 편 쓰려고 많이많이 끙..

MB가 시인이 아니라 아쉽다는 시인

이명박 대통령이 자기와 같은 시인이 되지 못해 아쉬워하는 시인이 있습니다. 오인태 시인입니다. 저는 그이가 쓴 글을 읽고 웃다가 허리를 삘 뻔했습니다. 그이의 글은 경남작가회의가 이번에 펴낸 16호에 실려 있습니다. 경남작가회의 회장인 오인태는 등 시집을 이미 네 권이나 낸 우리나라 중견 시인입니다. 홈페이지도 http://www.sibab.pe.kr 라고, 하나 운영하고 있습지요. 머리에 올린 글 '마리 앙투아네트, 그리고'에서 오인태는, 이명박 대통령의 상상력과 수사(修辭)가 뛰어나다고 칭찬합니다. 그러면서, 그런데도 이명박이 시인이 되지 못했음을 한탄합니다. 글은 프랑스 루이 16세의 왕후 마리 앙투아네트의 일화-프랑스혁명 직전 사람들이 남편인 루이 16세한데 '빵을 달라'고 요구했을 때 '빵이 없..

우주에서 벌레랑도 교감하는 시인

최종진이라는 시인이 있습니다. 제가 최종진(53) 시인을 처음 만난 때는 2001년입니다. 이라는 시집을 냈다는 얘기를 듣고 그이가 사는 경남 양산으로 찾아갔더랬습니다. 최종진은, 예사 시인이 아니었습니다. 나쁜 뜻도 아니고 좋은 뜻도 아닙니다. 보통 보기 드문 그런 시인이라는 말씀입니다. 첫째 전신마비 장애 시인입니다. 둘째 더없이 절실한 심정으로 시를 씁니다. 셋째 시집을 평생에 걸쳐 딱 한 권만 내겠다고 했습니다. 전신마비 장애는 89년 무슨 벼락처럼 닥쳐왔습니다. 출근길에 교통사고가 나는 바람에 목 아래는 아예 움직이기도 어렵게 됐습니다. 지금도 마찬가지여서, 혼자 힘으로는 '꼼짝'밖에 할 수가 없습니다. 감각이 거의 없어져서, 왼손으로 글을 쓰기도 합니다만 어림짐작으로 그리는 수준이라 해야 맞을..

‘권력’이 되고픈 문학잡지 <시인세계>

2000년대에 등단한 시인들 가운데 1등은 누구일까요? 김경주랍니다. 2009년 봄호가 시인 56명과 평론가 34명에게 저마다 다섯 명가량씩 ‘인기투표’를 시켜 이렇게 매겼습니다. 김경주는 52표를 얻었습니다. 계간 는 이번에 이렇게 적었습니다. “2000년도 이후 등단한 시인들 중 주목할 만한 젊은 시인 5명 내외를 추천해 달라 부탁하였다. …… 추천 수에 의해 13명의 ‘주목할 만한 젊은 시인들’을 선정하여 그들만의 새로운 시경향과 시세계를 조명해 보았다.” 아무 기준도 없이 ‘인기투표’로 등수 매기다니 는 이렇게도 적었습니다. “‘시인들이 추천한 시인’과 ‘평론가들이 추천한 시인’은 다소 다를 수도 있겠지만, 본지는 시인들과 평론가들의 양쪽 의견을 총합했다.” 그러나 이것은 ‘뭔가 있어 보이게 하려..

경남과 부산의 걸을만한 장소 서른다섯 곳

고성 시인 동길산 산문집 “들길은 불뚝성질의 길이긴 해도 무른 길이다. 푹신한 길이다. 대들어 저항하는 길이 아니라 배꼽 잡게 웃기면서 저항하는 길이다. 멱살 잡고 저항하는 길이 아니라 맞다 맞다 동조하면서 저항하는 길이다.”(14쪽, ‘합천 밤마리 들길’) “오솔길은 오솔길을 둘러싼 숲은 까탈스럽지 않다. 따지지 않는다. 나는 나고 너는 너다. 자기를 자기 방식으로 내보이는 대신 상대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다. 이래도 받아들이고 저래도 받아들인다.”(92쪽, ‘해운대 청사포 오솔길’) “나에게는 아무런 의미가 없는 길이 누구에게는 의미가 심장한 길이고 나는 휑하니 지나가는 길을 누구는 눈물 글썽이며 간다. 길은 어느 길이든 다감하고 어느 길이든 누군가에게는 외가로 가는 길이다.”(121쪽, ‘최계락 외..

반응형